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스페셜
"
초소형
"(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맞힐 '우주 화살' 성공적으로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11.24
디모르포스에 충돌할 계획이다. 소행성과의 충돌시 영상은 다트에 실린 큐브샛(
초소형
위성)이 충돌 약 10일 전 분리돼 촬영해 지구로 전송한다. 지구상에서 관측한 데이터와 큐브샛이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해 충돌로 인해 소행성의 궤도가 얼마나 바뀌었는지를 계산할 예정이다. NASA 연구진은 ... ...
[한 토막 과학상식]자이로스코프 정확도 4배 높이는 이론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관찰하는 실험기구로 처음 개발됐다. 최근에는 미세전기기계시스템(MEMS) 기술을 적용해
초소형
전자부품으로도 생산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에 쓰이고 있다. 자이로센서 중에서는 빛이 간섭계에서 갈라지는 중 간섭계가 회전하면서 갈라진 빛 사이 위상차가 생기는 '샤낙 효과'를 활용한 ... ...
[프리미엄 리포트]발사 카운트다운 앞둔 누리호 개발의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21.10.16
있도록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항우연은 내년 말 누리호를 이용해 국내
초소형
위성을 궤도에 투입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본격적으로 위성 발사 서비스를 시작하는 셈이다. 2027년까지 1~2년 주기로 계속해서 발사체를 쏠 계획이다. 이후에는 발사체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해 상용화할 ... ...
"발사체 기술 자주적 확보했지만 최신 트렌드 대응에 한계…새 도전 필요해" 전문가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1.10.14
주장했다. 임 팀장은 "해외 공모나 주요 협력국 대학과 연구소 등 지원을 통해
초소형
위성을 무료나 낮은 비용으로 발사하자"며 "누리호의 홍보나 우주 외교력 강화, 누리호 신뢰성 확보 강화 등에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 팀장은 또 그간 반영하지 못한 세계 우주개발 트렌드를 후속 ... ...
현대차 전기차 전용 플랫폼·SK하이닉스 DDR5 D램…한국 이끈 산업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1.10.13
자동착륙기술을 적용한 무인항공기’, DL E&C의 ‘브루나이 해상교량’, 수젠텍의 ‘
초소형
·저전력 면역화학 분석시스템’ 등 우수기술성과도 발굴됐다. 권오경 한국공학한림원 회장은 “탄소중립 실현과 디지털 전환 등 산업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되는 전환기를 맞아 이번에 선정한 15개 ... ...
생명연 창업기업 진코어 "한층 작아진 유전자 가위 기술로 게임 체인저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1.09.28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28일 연구원 창업기업인 진코어가 유전자 편집 기술인
초소형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캐스12f1(CRISPR-Cas12f1)'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김용삼 생명연 유전자교정센터 책임연구원팀이 창업한 진코어는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의 기술적 한계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람 타고 나는 씨앗 흉내낸 3차원 전자소자의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공중에서 스스로 비행하는 로봇이나 전자소자를 개발할 때 드론의 크기를 줄이거나,
초소형
전기모터를 넣어 수~수십cm 크기 비행 로봇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기계 부품이 많이 들어가고 디자인이 복잡해 cm 수준보다 더 작게 만들기는 어려웠다. 로봇이 비행할 때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 ...
[프리미엄 리포트]고체발사체는 민간 우주개발 도약 시발점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9.25
패러다임은 급변할 것으로 점쳐진다. 민간기업의 상업적 목적의 우주발사체 발사,
초소형
위성의 상시 발사, 위성 발사 시장 활성화 등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민간기업 중에서는 한화그룹이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한화는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 등을 주축으로 태스크포스 ... ...
KIST 실패 용인하는 도전연구 3개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자폐 증상별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한다. 태내에서부터 뇌세포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초소형
형광 현미경 개발을 통해 자폐 증상별 뇌세포 활성에 기반한 증상별 활성 마커를 도출한다. 이를 기반으로 환자 적용 가능하도록 뇌파와의 연관성을 추가적으로 규명할 계획이다. 김세훈 ... ...
[한 토막 과학상식]방사선으로 해킹 불가능한 양자난수 만드는 1.5mm
초소형
칩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방사성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베타선을 활용해 해킹이 불가능한 난수를 만드는 1.5mm 크기의 베타 양자진성난수생성기가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불규칙한 임의의 숫자를 뜻하는 난수는 모든 암호보안시스템의 핵심 요소다. 난수 중에서도 다음 숫자를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진성 난수를 만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