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스페셜
"
유리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IBS의 비전을 아시나요?
IBS
l
2014.06.13
거기다 대부분의 결과물 표현이 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문 사회적인 바탕이 조금 더
유리
하다고 말한다. "IBS는 스케일이 큰 만큼 미션도 큽니다. 그런 부분이 더 재미있게 일할 수 있는 장점이기도 하죠. 물론 공부해야 하는 부분이 수도 없지만요." 초기 멤버로 자부심과 보람 느낀다 IBS ... ...
[생활속의 기술]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KOITA
l
2014.05.16
올라오는 이유”라고 말했다. 실감형 내비게이션은 앞
유리
창에 나타난다. 실제 상은
유리
창에 맺히지만, 운전자가 보기에는 실제 도로 바닥과 건물 벽에 화살표가 나타난다.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다른 영상을 보도록 각도를 조절해 입체감을 느끼는 3D TV와 같은 원리다. 운전자는 실제 건물에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있는 물질을 찾았는데 그것은 놀랍게도 불에 그을린 무명실이었다. 그의 백열등은 진공
유리
관 속에서 필라멘트가 타버리지 않은 채 무려 45시간 동안 빛을 발했다. 전등의 탄생으로 비로소 인간의 눈은 보다 새로운 환경 즉 24시간을 모두 낮처럼 사용하는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인간의 삶을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서북부 해안에 수십m 높이의 지진해일(쓰나미)이 밀어닥쳤다. 근처 미야기현 나토리사
유리
아게 마을은 지진이 일어난 뒤 한 시간이 훨씬 지나서야 지진 해일이 밀려왔는데 전체 인구의 5600명 중 700명이 사망했다. 생존자를 중심으로 당시 상황을 재구성한 결과 지진 해일 경보가 울려도 아무렇지 ...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
KISTI
l
2014.04.10
염화수소와 같은 새로운 기체를 발견했다. 또한 우연히 물 위에 매달아 놓은 밀폐된
유리
그릇 안에 박하 묘목이 멀쩡히 잘 자라는 것을 보고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발견했다. 당시만 해도 동물이나 식물은 신선한 공기가 없는 공간에 오래 갇혀 있으면 살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광합성의 발견은 ... ...
[실험] 정전기를 막아라! 정전기 방지제 만들기
KISTI
l
2013.12.13
나열한 것을 ‘대전열’이라 하며 대표적인 대전열 순서는 다음과 같다. (+) 털가죽-상아-
유리
-명주-나무-고무-플라스틱-에보나이트 (-) 정전기의 특성과 대전열 순서를 이용하면 정전기를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정전기를 인위적으로 없앨 수도 있을까? 간단한 재료로 정전기 방지제를 ... ...
곰이 북극에서 살아남는 비법
KISTI
l
2013.12.10
대비 표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때문에 체온을 빼앗기는 면적이 줄어들어 보온에
유리
하다. 항온동물이 추위에 적응하기 위해 덩치가 큰 것은 생태학에서 ‘베르그만의 법칙(Bergmann principle)’이라 한다. 북극곰은 겨우내 겨울잠을 잘까? 이것도 절반은 틀린 얘기다. 북극곰은 겨울에 동면을 ... ...
임진왜란 해전 승리의 비결이 거북선이라구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을 극복하고 장점(원거리 공격에
유리
)을 살려 왜군의 전술을 무용지물로 만들고 아군을
유리
한 위치에서 싸울 수 있도록 해준 것이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임진왜란 때 왜군을 격파한 거북선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판옥선'이라는 이름은 우리에게 왠지 낯설다. 뛰어난 화력과 ... ...
어려움 속에서 빛나는 창조적 아이디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3
모습을 볼 수 있도록 꾸몄다. 이 외에도 검은 늑대를 눈높이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유리
돔과 산책로 위를 오가는 작은 판다를 볼 수 있는 관람시설도 생겨났다. 특히 아사히야마 동물원에선 펭귄이 하늘을 나는 것으로 유명하다. 관광객들의 머리 위로 둘러쳐진 투명한 수중 터널을 통해 자유로이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언제였을까? 누군가에게는 아폴로 11호가 달 착륙을 하던 순간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유리
가가린이 최초의 우주비행에 성공했을 때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극적인 순간은 꼭 화려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가가린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달에 살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