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중국산 용품 유해물질 '기준치', 자동차 '제한속도'와 같아
2024.09.25
고려한다.
우리
가 다른 나라에서 허용하는 CMIT·MIT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그런 경우다.
우리
가 2011년에야 진상을 알게 된 '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기억을 쉽게 잊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다른 나라에서는 안전한 범용(汎用) 살균성분인 CMIT·MIT·PHMG·PGH를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라는 치명적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리
는 쥐에 대해 얼마나 알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22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먹이를 열심히 까먹는 새카만 눈동자의 하얀 쥐 모습이 실렸다. 대표적인 애완쥐인 팬시 래트(fancy rat·학명 Rattus norvegicus domestica)다. 팬시 래트는 18세기 서양에서 야생 갈색쥐(학명 Rattus norvegicus)를 사람이 키울 수 있도록 길들인 쥐다. 사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상 최대 규모 블랙홀 제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1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이번주 표지로 블랙홀이 방출하는 '제트'의 모습을 실었다. 제트는 블랙홀이 물질을 빨아들일 때 발생하는 ... 블랙홀 제트가 우주에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발견은 우주에 대한
우리
의 이해를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절'이 기분좋은 이유
2024.09.14
증진시키는 행동이기도 한 것이다. 이렇게 친절과 고마움을 베푸는 과정에서
우리
는 타인의 행복이 내 행복에, 또 내 행복이 타인의 행복과 직결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타인이 기뻐하는 모습에 함께 기쁨을 느낀다. 비슷하게 내가 속한 사회를 좀 더 따뜻하게 만드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나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윤석열 세대' 의대 2025학번의 암울한 미래
2024.09.11
아니라는 가장 확실한 증거다. 사실 의사의 '적정 수'가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가 선진국만큼 의사를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비현실적이고 의사 양성을 변호사 양성과 비교하는 것도 억지 춘향이다. 변호사 양성을 위해 반드시 법과대학이나 법학전문대학원이 필요한 것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여겼는데 어쩌면 형식도 내용의 일부(그것도 중요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우리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 여전히 상당한 역할을 하는 파충류 뇌는 인류의 진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형식 정보를 통해서 내용을 추측하고 적절한 대응을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닐까. ※ 필자소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
2024.08.31
역시 미루기에 대한 원고를 미루면서 작성했음을 밝힌다. 뻔히 더 고통받을 것을 알면서
우리
는 왜 자꾸 미루는 걸까. 어떻게 하면 일을 미루지 않을 수 있을까. 우선 예상할 수 있겠지만 일이 지루하거나, 전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거나, 너무 어렵고 힘든 일이 그 자체로 부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가짜 과학
2024.08.28
절실하다. 가짜·유사 과학이라는 악령(惡靈)이 춤추는 현대 사회에서 과학과 기술만이
우리
를 지켜주는 희미한 등불이라는 칼 세이건의 소중한 교훈을 기억해야 한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 교육, 에너지, ... ...
[과기원NOW] DGIST, 세포 손상 막는 '채널' 작동 원리 밝혔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22
박사연구원.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서병창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우리
몸 속 세포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PAC채널'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고 22일 밝혔다. PAC 채널은 세포 외부의 산성 환경에 반응해 활성화된다. 이러한 작용이 어떻게 세포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이해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나의 일부'가 된다
2024.08.17
것이다. 최근 애밀리 오거 캐나다 맥길대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서로 이해하는 관계는
우리
의 외로움을 충족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내가 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요소 '나의 일부'가 된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에게 가상의 연인 제인과 마이크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한 그룹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