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과서
교본
스페셜
"
교재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곰팡이도 만들어 약간 당황한 필자는 책장 한 구석에서 식물학 분야에서는 유명한
교재
인 ‘타이즈와 자이거의 식물생리학(2009년 번역출간된 4판)’을 꺼내 질소고정을 다룬 부분을 읽어봤다. 자연계에서 연간 1억 9000만t의 질소가 고정되는데 이 가운데 10%만이 번개나 광화학반응 같은 비생물적 ... ...
영광의 햇살과 바람으로 빚은 ‘국민 명품’ 법성포 굴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7
도시로 이동하면서 농업과 어업이 쇠퇴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광군은 EBS 중학교 사회
교재
에 농어촌 사회 인구감소의 예시로 등장할 만큼 인구감소세가 두드러졌다. 굴비가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은 역설적으로 현대에 겪은 쇠퇴 덕분이었다. 위기감을 느낀 지역 상인들과 영광군이 1993년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습지 지리여행(Wetland Geotravel)
동아사이언스
l
2014.11.24
햇빛이 잘 드는 곳이라면 이런 지하수위 감소 패턴이 발생될 것이다. 위의 그림은 대학
교재
에 인용해도 좋을 그래프다. 이 그래프를 통해 장도습지의 지하수는 하루 약 1cm 속도로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례 3. 땅 속의 지하수를 보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물 공부를 하다보면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제공 촉각은 오감 가운데 하나이지만 사실 좀 애매한 면이 있다. 신경과학 대학
교재
를 보면 감각을 다룰 때 미각, 후각, 시각, 청각(평형감각 포함)은 각각 한 장의 제목으로 올라와 있지만 촉각은 없다. 대신 ‘체감각(somatic sense)’이라는 이름의 장이 있고, 그 가운데 한 절에서 촉각을 다루고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하지는 못했다. 해면 공생 박테리아는 배양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글 앞에 인용한 대학
교재
‘생명과학’은 2008년판임에도 여전히 해면을 생산자로 기술돼 있다. 이는 저자들이 최신 연구결과를 몰라서가 아니라 해면동물에 불과 2쪽을 할애한 상태에서 심증만 있는 복잡한 스토리를 담아낼 수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1.13
어렵다는 것. 참고로 미국 텍사스대의 디 언그로브 실버톤 교수가 쓴 대학
교재
‘생리학(Human Physiology)’를 보면 우리 몸에서 수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여성이 50%, 남성이 60%로 나온다. 다소 뜻밖인데 여성은 체지방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수분의 분포를 보면 세포내액이 3분의 2, 세포외액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이 슬픔을 잊기 위해 리처드슨 부부는 코넬대의 동료 앨런 지암바티스타와 함께 물리학
교재
‘College Physics’를 집필했다고 한다. 3. 도널드 글레이저 (1926. 9.21 ~ 2013. 2.28) 맥주거품에서 노벨상을 발견한 물리학자 거품상자를 바라보는 포즈를 취한 도널드 글레이저. 노벨상을 받은 해인 1960년 ... ...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세울 것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물리학회 차원에서도 과학을 쉽게 설명하는 강연자를 육성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재
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100여회의 청소년 및 일반인들 대상의 과학강연을 실시하며 물리학이 흥미진진한 학문이라는 점을 알리기 위해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과학 속에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글 쓰는 건 질색했던 파인만은 난색을 표시했지만 결국 사실상 감금상태에서
교재
를 집필했다. 이렇게 해서 1963년에서 1965년 사이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The Feynman Lectures on Physics)’ 세 권이 빛을 보게 됐다. 거의 50년이 지났지만 ‘물리학 강의’는 여전히 최고의 물리학
교재
(물론 초보자가 읽을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그러나 마이어에게는 미안한 일이지만 21세기 들어 생명과학
교재
대다수는 휘테커의 5계 분류체계를 버리고 우즈의 3역 분류체계를 채택했다. 이 분류체계가 오늘날 다양한 생물들의 위치를 좀 더 명쾌하게 보여줄 뿐 아니라 생명진화의 역사나 생물 특히 진핵생물의 ... ...
이전
1
2
3
4
5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