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초
토대
기틀
근거
근본
저변
뉴스
"
터전
"(으)로 총 12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자의 눈] 실험실 장비 보며 '청계천' 떠올리는 과학자들은 이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무너지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8년엔 재개발이 본격화하면서 제조업체와 공구상들이
터전
을 잃고 뿔뿔이 흩어지고 있다. 청계천에선 도심 제조업 생태계를 보존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낙후된 지역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맞선다. 하지만 정작 과학계 어디에서도 청계천 재개발과 관련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백해무익한 과학기술 문명 비하론
2020.04.15
우리가 오지를 개척해서 화려한 도시를 이룩했듯이 바이러스도 끊임없이 새로운 삶의
터전
을 개척하고 있을 뿐이다. 다만 우리가 바이러스의 출현을 함부로 반길 수 없는 것이 문제다. 우리가 도심에 출몰해서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는 멧돼지를 싫어하는 것과 조금도 다르지 않다. 물론 우리가 믿을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
2020.04.11
Aegypius monachus )는 매목 수리과의 새다. 예전엔 넓은 유라시아 대륙 전체가 독수리의
터전
이었으나 약 200년 전부터 산업화가 시작되며 인구가 많아졌고, 독수리의 수는 줄어들었다. 도시화로 독수리의 서식지가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쥐 등 동물이 옮기는 질병이 많아지자 사람들이 독약을 섞은 ... ...
호암상 과학상에 '중성미자' 연구자 김수봉 교수·공학상에 디지털영상 전문가 임재수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설립하고 강화도에 ‘우리마을’ 공동체를 설립해 발달장애인의 일자리와 삶의
터전
을 제공하는 등 일생 동안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도왔다. 성공회대주교, 성공회대 총장을 역임했지만, 특히 소외된 장애인을 위해 헌신한 공을 인정 받아 호암상 사회봉사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호암상은 ... ...
코로나19는 WHO가 2년전 경고한 '질병X'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2.24
가능성이 가장 큰 원인은 '산업활동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또는 '기후변화'다. 삶의
터전
을 잃은 야생동물이 인간과 접촉이 늘어나면서 동물과 인간에게 모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가 나타나 전염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인수공통감염병). '생화학무기'로 사용하기 위해 변종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
2020.02.15
인류의 몸을 삶의
터전
으로 삼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터전
이 죽기 전에 얼른 다른
터전
으로 옮겨갔다. 둘째 의사라는 직업이 탄생했다. 역사적 기록에 의하면 최초의 의사는 기원전 2600여 년 전 이집트에 살았던 임호테프다. 물론 그도 스승이 있었을 테니 아마 최초의 의사는 문명의 탄생과 더불어 ... ...
[호주 대화재] 최대 피해자는 야생동물…국가 상징 코알라 30% 떼죽음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환경당국/시드니 AP 제공 지난해 11월부터 시작한 호주 산불은 인간뿐 아니라 동물의
터전
까지 집어 삼키고 있다. 시드니가 속한 뉴사우스웨일스주에만 지금까지 4억8000만 마리의 동물이 화재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됐다. 전문가들은 이례적인 대형 산불의 배경으로 기후변화를 ... ...
그린란드 빙하 3조8000억t 사라졌다...녹는 속도 90년대보다 7배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주도한 앤드루 셰퍼드 리즈대 교수는 “해수면이 1㎝ 상승할 때마다 600만 명이 삶의
터전
을 잃는다”며 “지금의 기후변화 추세론 그린란드 빙하로만 2100년까지 1억 명, 전체 해수면 상승으로는 4억 명의 이재민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그린란드 빙하가 녹는 ... ...
2040년 수소 가격 화석연료 수준 내린다
2019.10.31
논의된 안건들이 에너지 전환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신기술이 집약된 쾌적한 삶의
터전
을 만들어가는 데 있어 든든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2년차를 맞이해 지금까지 발굴된 다양한 이슈 및 안건들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위 수준의 정책으로 종합·발전시키는 ... ...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가 피해 규모 과소평가됐다" 기존보다 3배 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분석 결과 어떠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도 2050년까지 삶의
터전
이 물에 잠기는 인구는 1억 5000만 명으로 추산됐다. 과거 분석값인 3800만 명의 3배 수준이다. 침수 피해를 비롯해 홍수로 인한 영향을 받는 인구는 3억 명으로 추산됐다. 과거 분석값은 7900만 명이었다. 210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