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반
기초
토대
기틀
근거
근본
저변
스페셜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사는 미생물은 몸을 구성하는 세포 수보다 10배나 많습니다. 인간이 미생물한테 삶의
터전
을 제공하는 격이죠. 사람의 건강을 결정하는 대부분의 요소는 미생물의 종류와 수, 다양성에 달렸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포스텍 생명공학동 4층 연구실에서 만난 임신혁 IBS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 ...
에너지 갈등, 해법은 무엇인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15
갈등 대부분은 지역민들과의 충실한 소통이 사업의 성패를 판가름하곤 한다. 생활
터전
에 갑작스런 변화를 겪어야 하는 지역 주민들의 입장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지역 주민 역시 정보 부족으로 에너지 시설의 필요성이나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받아들이지 못하여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원자력발전소 건설이 필요하지만, 지역 주민의 입장에서는 발전소 건설이 삶의
터전
을 침해당하는 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사회 각계에서는 원자력에너지를 둘러싼 갈등과 우려를 해결하고 합의에 기반을 둔 정책을 구상하기 위한 노력들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 25일, 서울 ... ...
과학계 '그랜드 슬램' 뒤에는 그가 있었다
IBS
l
2014.12.16
후 대구에서 한 잡지사의 기자로 활약하던 그녀는 남편의 직장 때문에 포항으로 삶의
터전
을 옮겼다. 하지만 여기서 제2의 인생이 시작될 줄은 상상도 하지 못했다. 연구원 식구들과 벚꽃 놀이. 서 연구원 옆이 남홍길 단장으로 15년이 넘게 연을 이어오고 있다. "당시 포항에는 여자가 할 만한 일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음식물 쓰레기 배출, 언제부터 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 우주아저씨 (구독자 수 : 27.9만 명) 언젠가는 인류가 지구를 떠나 우주에서 새로운 삶의
터전
을 찾을지도 몰라요. 그러나 우주엔 불타는 화산, 예측할 수 없는 온도 변화 등 극한 환경을 가진 행성이 많지요. 우리가 대규모로 이주할 수 있는 행성이 과 연 존재할까요? 벚꽃 종이접기_조회 수 : 1.9천 ... ...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집비둘기와의 잡종화로 추정됩니다. 가까운 도시의 집비둘기가 낭비둘기의 서식지로
터전
을 옮겨 낭비둘기와 짝짓기를 하고, 그 결과 낭비둘기도 집비둘기도 아닌 잡종이 태어난 거예요. 국립생태원 강승구 연구원은 “이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은 잡종 비둘기와 집비둘기만 남게 될 것”이라고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가끔 궁금합니다.”지금 우리 인간은 바다에 살지 않는다. 땅에 산다. 바다를 삶의
터전
으로 삼은 이들이 물론 많지만, 그들조차 바다의 속보다 위에서 보내는 시간이 훨씬 길다. 결국 바다라는 짠물 그 자체는 인간이 숨쉬며 생활하는 공간은 아니다. 인간은 바다에서 주인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사이보그는 현실보다도 메타버스 공간인 ‘뉴로어스(neuro-earth)’를 진정한 삶의
터전
으로 삼고 있었다. 물론 구태인이라 뉴로어스에 접속할 수 없는 선은 이렇게 현실 속 이스터 에그처럼 구현된 소소한 요소들을 지켜보는 것으로 나름의 이벤트를 즐기곤 했다. 다른 누구의 방해도 없이 오롯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경골어류중 가장 큰 개복치를 얼마나 아시나요?
기사
l
20251007
죽어서 개복치는 예민하고 약하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완벽한 사실이 아닙니다. 개복치는 그들의 덩치만큼 그들의
터전
인 바다에서는 생존력이 아주 강한 물고기이며, 그들의 평균 수명은 성체가 되면 약 20년 정도일 정도로 그 생명력이 아주 깁니다. 그들의 먹이 ...
[보령에서의 열세 번째 현장미션]김정균 보령 대표 이사님&안될과학 항성 님 특별 강연!
기사
l
20250827
이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사람을 모으는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중요!)2055년, 건강한 삶에는 무한한 아이디어가 필요하고, 연구의
터전
에서 아이디어로 세상을 바꿔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질의응답 시간입니다!]*질문과 답변이 완전히 똑같지 않을 수 있습니다.*Q1-사업의 노하우(계기, 영감)A-많은 분들과 협업을 하며 NASA에 도움이 되고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우주과학을 생각하다.
기사
l
20240625
구경하는데만 집중했는데, 어느샌가 2층에 자리잡은 우주자원개발 코너를 보니 너무 반가웠어요. >> 인류의 현재와 미래
터전
을 보전하기 위해 지질자원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연구하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분들께 존경을 표하며, 앞으로 우리도 지속가능한 보금자리를 위해 땅과 바다, 우리 지구사랑을 실천하는것은 어떨까요? 이 ...
창원 물향기 공원 두꺼비들의 생존을 위한 여정
기사
l
20240505
나고 건물이 들어서면서 갑자기 발전되고 사람들이 산책을 할 수 있는 보행로가 생겼습니다. 그런데 이곳이 양서류들에게는 삶의
터전
이었던지라 양서류들의 부화시기가 되면 양서류들의 이동로가 산책로로 바뀌어 사람들의 발밑에 갓부화한 두꺼비들이 밟혀죽는 일이 발생하였고 오늘처럼 비가 오는날에 저수지물이 넘쳐나지 않도록 만들어놓은 수로가 그 깊이와 너비로 ...
여름 공릉천엔 무슨 새가 살까?
기사
l
20230916
같아서 설명을 드리자면 현재 공릉천은.. 위기에 빠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원래는 새들의 서식지였지만 지금은 공사로 인해서 새들의
터전
을 없애고 있고, 많은 새들의 먹이감,둥지 등을 파괴하는 수준이라고 보셔도 될 정도 입니다 파주가 워낙 신도시가 많다 보니 더 개발을 하고 발전을 하려고 공사를 많은 돈 들여 파주시가 시행하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