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3건 검색되었습니다.
[헷갈린 과학] 백열등 VS 형광등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2.22
안에는 수은 기체와 형광 물질이 들어 있어요. 전원을 켜면 유리관 양쪽 끝에 있는
전극
에서 전자가 튀어나옵니다. 이 전자가 유리관 안을 돌아다니면서 수은 기체와 부딪혀요. 이때 자외선이라는 빛이 나옵니다. 자외선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형광등의 유리관 안쪽 벽에 칠해져 있는 형광 ... ...
[과기원NOW] DGIST, 신경 손상 걱정 없는 '스마트 밀착
전극
'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있는
전극
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커프
전극
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극
이 스스로 구부러져 신경을 감쌀 수 있는 '소프트 구동 기반 커프
전극
(soft-actuated cuff electrode)'을 고안했다. 소프트 구동 기술을 활용해 평평한 2D(2차원) 형태에서 3D(3차원) 구조로 변할 수 있는 것이 ... ...
차세대 바닷물 전지, 값싼 목재 폐기물로 성능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필요한 에너지를 크게 낮추는 것으로 분석됐다. 리그닌과 요소로 만든 촉매를 해수전지
전극
에 적용해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백금 촉매와 거의 비슷했다. 과전압 수준은 백금 촉매보다 더 낮았다. 과전압이 낮을수록 충전한 전기에너지에서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비율이 높아진다. 에너지 방전 ... ...
머릿속 '별세포' 칼슘 신호 조절해 뇌졸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치료는 주로 신경세포를 직접 자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강한 자기장을 이용하거나
전극
을 부착해 전류를 흘려보내는 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자극 부위의 모든 세포에 비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작용 메커니즘도 명확하지 않다. 치료 결과의 예측이 어려운 데다 치료 효과도 개인차가 ... ...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재헌·신진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개발·적용했다. 단결정 양극재
전극
기술은 양극재를 하나의 결정 구조로 형성하고
전극
밀도를 높여 배터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고 전해액 첨가제 기술은 높은 전압에서도 전해액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해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술이다. 작동 전압을 높이면서 배터리 수명도 길게 ... ...
공기로 전기 만드는 배터리 수명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높이고 전지에 걸리는 과부하는 줄여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리튬공기배터리는 산소를
전극
으로 쓰는 특성상 내부에 활성산소가 많이 생긴다. 활성산소 중 에너지가 높은 '일중항산소'가 산화환원 매개체와 반응해 산화환원 매개체가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게 한다. 연구팀은 알킬하드라진 ... ...
머스크의 뉴럴링크, 개인의 생각도 조작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2.09
어레이는 100개의
전극
으로 표적 신경세포의 신호를 읽는다면 뉴럴링크 칩은 1024개의
전극
을 뇌에 심는다. 아르보 씨는 BCI 기술의 어두운 측면도 인지하고 있다. 누군가 자신의 신경세포가 생성하는 데이터를 엿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 ...
전기차 1회 충전으로 600km…두꺼운 고성능 배터리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오혜성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연구원은 "환경친화적인 건식
전극
의 용량 증가와 성능 향상을 동시에 실현한 혁신적인 성과"라며 "코인 셀 수준의 실험실 단계를 넘어 대규모 생산 공정에 적용 가능한 1암페어시(Ah, 배터리 용량 단위)급 파우치 셀에도 성능을 검증했다는 ... ...
[동물do감] 정전기로 벌새에 '무임승차'하는 진드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진드기들을 모아 놓고 벌새에서 나오는 전기장을 모사하자 거의 모든 진드기가
전극
을 향해 두 앞다리를 들어 올리며 머물렀다. 진드기는 전기장을 활용해 무려 초속 150m의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드기의 앞다리를 살핀 결과 화학적 신호나 열, 전기장을 측정하는 다른 곤충이나 ... ...
[과기원NOW] 포스텍, 복털조개에서 강력한 접착력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연구팀은 고무와 같은 재질(PDMS)에 빛을 내는 황화아연-구리 입자를 넣고 은 나노선 단일
전극
구조를 설계해 높은 효율성을 구현했다. 기존 마찰전기 나노발전기(TENG)의 전기 출력 안정성 문제와 기계발광(ML) 소재의 빛 지속 시간 부족 한계를 극복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