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질 변화 없이 '시간'으로 전자파 제어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없었다. 연구팀은 “시간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1차원 정보만을 제공해 전자파를
자유자재
로 제어하기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여길 수 있다”며 “하지만 시간 속 무질서의 개념이 수 많은 공학적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음에 주목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기적 성질과 자기적 성질을 ... ...
우주식량·인공장기 만드는 3D프린터...우주 개척에 날개 단다
과학동아
l
2023.02.04
제조 방식의 혁신이라 불리는 3D 프린터가 우주 개발의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과학동아 바야흐로 우주 개척 시대다. 미국은 50년만에 유인 달 착륙 프로젝트를 재개했고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는 화성 탐사용 거대 로켓 ‘스타십’의 첫 궤도 시험 비행을 2023년 1분기 진행할 계획이다. 이들의 목 ... ...
'앤트맨' 구현?…미시세계 속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양자 현상인 '준입자'를 눈에 보이는 거시세계에서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신체 크기를
자유자재
로 변형시키는 능력을 갖춘 주인공이 거시와 미시세계를 넘나드는 영화 '앤트맨'의 세계관이 실현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박혁규 첨단연성물질연구단 연구위원팀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돼지껍데기 추출물로 연료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09
황재윤 교수팀이 홀로그램 원리를 기반으로 집속 초음파 형태를
자유자재
로 실시간 구성할 수 있는 딥러닝 기반 초음파 홀로그램 생성 프레임워크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황 교수팀은 기존 초음파 홀로그램 생성 알고리즘 방법 대비 최대 400배 빨라 실시간에 가까운 홀로그램 생성 시간을 ... ...
새로운 비만 치료법 등장…양전하 나노물질로 내장지방 없애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폴리아미드아민은 단백질과 같은 화학적 구조를 가지면서도 원하는 화학적 특성을
자유자재
로 부여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폴리아미드아민에 양전하 성질을 띠게 해 양전하 나노물질 P-G3를 개발했다.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P-G3는 내장비만 세포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
[과기원은 지금] 정모세 UNIST 교수팀, 소형 차세대가속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실용화에 필요한 기술실증 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빔 진행 방향으로의 위상공간을
자유자재
로 제어하는 기술로 소형 차세대가속기 실용화가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공개됐다 ... ...
세 가지 정보 동시에 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맞춤형 VR 수업'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2.11.01
디스플레이 상용화를 한층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메타표면은 빛을
자유자재
로 조절하는 인공물질이다. 나노 구조체의 주기적인 배열로 이뤄진다. 구조체 하나의 크기가 파장보다 작아 이 안에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학계의 과제였다. 또 기존 메타표면은 ... ...
[과기원은 지금] GIST, 대형 산불 발생 야기하는 기상조건 일주일 전 예측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0.21
■ 포스텍은 최수석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산란 없이 투명과 밝기를
자유자재
로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적은 전압으로 빠르게 반응해 기존 스마트 윈도우와 달리 상용화된 디스플레이의 회로 구동 부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디스플레이 ... ...
태양의 서커스인 줄…호주 거미, 기막힌 곡예로 개미 사냥
연합뉴스
l
2022.09.20
교수는 거미가 자기 몸집보다 더 큰 사냥감을 잡기 위해 거미줄이라는 도구를
자유자재
로 사용하는 것에 주목했다. 밤라 교수는 "우리는 인간과 영장류만 도구를 다룰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거미도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연구진, 0차원 공허에서 새로운 메모리 기술 발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9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 입자의 크기를 조절해 반사되는 파장과 물질의 색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다. 입자의 크기를 일정하게 만들면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해 염료 없이도 특정 색을 띠게 할 수 있다. ■ KAIST는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22 KAIST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