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방
자유
뉴스
"
자유자재
"(으)로 총 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점프도 하고 비행도 하는 '하이브리드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영감을 받아 점프와 비행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로봇 개발 시도가 있었지만 점프 높이를
자유자재
로 변화시키고 연속으로 점프하는 움직임을 구현하기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프로펠러가 4개 달린 쿼드콥터와 고무줄이 연결된 접이식 탄성 다리를 결합한 홉콥터를 제작했다. GPS나 모션 캡처 등 ... ...
스마트폰 인덕션 렌즈 사라질까…'메타렌즈' 대량생산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두께인 메타렌즈는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자유자재
로 휘거나 모이게 하는 초박형 평면렌즈다. 빛의 파장보다 작은 오돌토돌한 미세한 구조로 가득 차 있어 빛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여러 개의 렌즈 없이 메타렌즈 하나만 있으면 빛을 조절해 원하는 ... ...
'인공지능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
과학동아
l
2024.02.24
대규모 언어모델 중 하나인 GPT를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사람의 언어를 이해해 문장을
자유자재
로 생성한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챗GPT에 열광하며 변호사 같은 지식 전문가도 생성 AI의 강력한 언어능력에 빠져든다. 2023년 6월 미국 뉴욕에서 민사소송을 수임한 한 변호사는 챗GPT가 작성한 의견서를 ... ...
유전자 신호 따라 클러치 작동하는 스마트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이용해 무선으로 로봇 제어가 가능하다. 자기장의 방향에 따라 회전력의 발생 방향을
자유자재
로 바꿀 수도 있다. 이렇게 구동하는 나노로봇은 세포와 결합해 생체 신호를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질병 인자에 해당하는 특정 마이크로 RNA 유전자가 존재하는 경우 클러치 나노로봇이 이를 ... ...
일론 머스크의 '뉴럴링크', 인간 뇌에 칩 이식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뉴럴링크가 개발한 칩을 인간에게 실험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뉴럴링크는 팔다리를
자유자재
로 움직이지 못하는 사지마비 환자 등이 생각만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머스크 CEO는 자신의 X 계정에 "휴대폰과 컴퓨터를 통해 거의 모든 장치를 생각만으로 ... ...
물 표면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차세대 수중로봇 개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다리 사이에 난 '부채꼴 털'임을 확인했다. 물 같은 유체 속을 움직일 때 항력에 저항해
자유자재
로 몸을 회전하는 건 쉽지 않다. 연구팀은 라고벨리아 약 150마리를 수집해 고속카메라로 이들의 움직임을 촬영했다. 라고벨리아가 회전을 하기 위해 한 쪽 다리를 쭉 펴자 다리에 달린 부채꼴 털이 ... ...
[과기원NOW] 노준석 교수·김민규 박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지표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영향력을 입증한 연구자를 HCR로 선정한다. 노 교수는 빛을
자유자재
로 제어할 수 있는 메타 물질 분야 전문가다. 2018년과 2021년 각각 세계 최초로 3차원 메타 물질의 대량 합성과 프린팅 기술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김 박사는 국내외 대학·연구기관·산업체와 ... ...
자유자재
로 모양 바꾸고 아무데나 붙였다 떼는 '초박형 스피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0.001mm) 이하의 얇은 막 형태의 열음향 스피커다. 각종 표면에 쉽게 붙일 수 있고 모양도
자유자재
로 바꿀 수 있다. 스피커 지지대의 모양에 따라 360도 회전하거나 선택한 위치로 음성 출력이 가능하다. 원뿔 모양의 진동판과 음성 코일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스피커는 딱딱하고 부피가 커 웨어러블 ... ...
메타물질로 '열전소자' 신축성·전력생산량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1
열전소자를 선보이고 있다. KERI 제공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지만 인공적으로 설계해
자유자재
로 적용할 수 있는 물질인 '메타물질'을 활용한 열전발전 소자가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최혜경·윤민주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선임연구원이 메타물질을 활용해 열전발전 소자의 신축성과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양자점 상용화...끝없는 질문에 답 찾는 과정
2023.10.16
제공 마블 스튜디오의 히어로 중에는 ‘앤트맨’이란 캐릭터가 있다. 앤트맨은 몸을
자유자재
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핌 입자’로 물체의 크기를 바꿔가며 악당을 물리친다. 2023년 개봉한 영화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에서는 앤트맨 가족이 미지의 양자 영역 세계에 빠져버리고 무한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