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뉴스
"
구별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⑤의식의 기원을 탐구하는 노력…'공각기동대:고스트 인 더 쉘(2017)'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기술이 구동하는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인간의 의식과 기계의 의식의 차이를
구별
하기 위한 단서는 앞으로 더 구체화될 전망이다 뇌와 컴퓨터를 연결해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면서다. 공상과학소설의 '전자두뇌'에 빗대어 표현되는 BCI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
2024.10.27
이들 모두를 질병이라 하기는 어렵고 아니라고 하기도 어려우니 질병과 건강한 상태를
구별
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 변화하고 있는 병원과 의사의 역할 요즘은 과거보다 중고생들에게 진로지도를 하는 시간이 늘어난 듯하다. 필자의 경우에도 특별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의료계에 관심을 ... ...
인간의 냄새 구분 속도, 눈 깜빡이는 속도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연구팀은 참가자 229명에게 서로 다른 두 가지 냄새를 일정한 순서 또는 반대로 제시하며
구별
하도록 했다. 실험은 두 냄새 사이의 시간 간격을 다르게 하면서 반복됐다. 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두 가지 냄새의 변화를 1~3초 정도 지속되는 한 번의 '냄새 맡기' 행동 안에 인지할 수 있었다. 사람이 눈을 ... ...
상처 입으면 몸 합체하는 해파리들…소화관도 융합돼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동시에 이뤄지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빗해파리는 자신의 조직과 다른 동종의 조직을
구별
하는 '동종 인식 메커니즘'이 부족할 수 있다"며 "두 개체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이 생존 전략으로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추가 연구를 통해 손상된 조직의 이식·재생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③PTSD 치료 가능할까…'이터널 선샤인(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연구팀은 이후 이 기술을 발전시켜 공포 기억에 관여하는 신경세포와 시냅스를
구별
할 수 있는 '엘씨디-이그래스프(LCD-eGRASP)'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강 교수는 "기억을 저장하는 세포에 집중하는 기존 연구에서 한 단계 나아가 아주 세밀한 영역에서 기억을 억제하는 신경세포의 역할를 ... ...
가장 자세한 초파리 뇌지도 작성…뇌 비밀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크기의 초파리 뇌 신경세포를 관찰했다. 수백만 개의 이미지에서 신경세포의 모습을
구별
하는 복잡한 작업에는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정밀한 초파리 뇌 지도는 뇌 활동의 메커니즘을 아주 높은 정확도로 밝혀냈다. 초파리가 미각을 처리할 때 뇌 기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 ...
매년 사라지는 남극 빙하 70%, 서남극에서 녹아
동아사이언스
l
2024.10.01
위성정보의 공간해상도는 기존 300km에서 30km로 10배 향상됐다. 이는 지도에서 한국을
구별
하는 수준에서 서울시를 식별할 정도로 해상도가 좋아진 것과 맞먹는다. 분석 결과 2002년 이후 스웨이츠 빙하와 파인아일랜드 빙하에서 연평균 845억 톤의 얼음이 집중적으로 유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 ...
"오류정정 없는 양자컴, 물리 연구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9.25
낮은 상태로 양자 시스템의 성질 등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또 양자 효과에 의해
구별
되는 다양한 물질 상태인 양자상 사이의 경계를 구분하면 고온초전도 같은 특성을 나타내는 특별한 양자상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연구팀은 오류를 정정하는 대신 특정 오류를 데이터 후처리를 통해 ... ...
고양이 수직 동공 모방한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9.23
얕으면 초점이 맞은 부분만 선명하게 보임으로써 보고 싶은 물체를 정확하게 배경과
구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휘판은 생물학적 빛 반사체 역할을 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시각적 감도를 향상시킨다. 휘판이란 척추동물의 망막이나 망막 뒷부분에 있는 조직으로 빛을 반사해서 야간 시력을 ... ...
생각할 때 눈을 위로 치켜뜨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하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동물은 시야에 들어온 물체를 빠르게
구별
하고 분류해야 한다. 물체가 자신에게 위협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시각적 자극에 반응하는 부위가 의사 결정과 같은 인지기능 영역으로 기능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