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어린이과학동아
"
바닷물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은 왜 푸른 색일까?
기사
l
20220902
여름보다 건조한 가을의 하늘이 더 파란 이유는 바로 습도 때문이죠. 추가로
바닷물
이 파란색인 이유도 빛의 파장 때문입니다. 빛이
바닷물
을 통과할 때 파장이 긴 붉은 계열이 먼저 흡수되고 파란 계열이 늦게 흡수되기 때문에 파란색을 띠는 것이지요. 깊은 바다로 갈수록 검게 보이는 것은 빛이 모두 흡수됐기 때문입니다. 사실 저도 이 ...
생존이 달린 서바이벌 토론회
기사
l
20220831
물 없이 지낼 수 있는 시간은 단 3일. 물은 음식을 소화시키고 정신을 차리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에요. 이슬을 모아서 마시거나,
바닷물
을 정화시키거나 끓여서 먹어야 해요. 이처럼 물은 엄청나게 중요한 요소에요. 이번 토론주제는 "무인도에 단 한 가지만 들고 갈 수 있다면 어떤 것을 들고 갈 것인가" 의 대해 댓글로 토론을 나눠 주시면 감사하겠 ...
차다현 민물고기/
바닷물
고기 연구원님의 기사를 소개해요!
탐사기록
l
20220824
제주도에서는 시민과학풀씨에서 미끈망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차다현 연구원과 지사탐 대원들이 모여 현장교육을 진행했어요.
바닷물
속에서도 땅을 파봐야 볼 수 있는 미끈망둑을 연구원님과 함께 관찰하고 그 생태에 대해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답니다! 차다현 연구원님이 직접 현장교육에 오지 못한 친구들을 위해 후기 기사를 작성하셨다고 하는데요. ...
지구가 자전을 멈추면?
기사
l
20220815
때문인데, 지구의 자전이 멈추면 적도 부근에 있던
바닷물
이 극쪽으로 이동하여 북극해안까지 밀려와 해수면을 상승시킵니다.
바닷물
들은 수km 높이의 쓰나미를 일으켜 지구를 덮칠것이고, 그래서 아주 많은 해양생물들이 사라질 것입니다. 극쪽으로의 물의 이동에 따라 지구의 전체 지도도 바뀌게 됩니다. 네! 지금까지는 최윤제 기자였습니 ...
원숭이는 사람보다 똑똑할까?
기사
l
20220808
먹는데 힘들어했는데, 원숭이 무리 중 18개월된 암컷이
바닷물
에 고구마를 씼어먹었다고 하네요. 그리고 더 신기한 것은 그 암컷이
바닷물
에 일부러 고구마를 찍어먹었다는 것! 왜 신기하냐고요? 이유는 고구마를 소금에 찍어 먹으면 단맛이 더 강해져서 입니다. 출처: https://www.google.com/search?q=%EB%B0%9 ...
벌교 기수역에는 어떤 물고기가 살까?
기사
l
20220728
만들었을까요? 이 물고기는 '감성돔'입니다. 회를 좋아하거나 바다 낚시를 즐겨하는 독자분들은 익숙한
바닷물
고기 일 것입니다. 완전
바닷물
고기일 것 같은 감성돔은 강에서 나오는 유기물과 다양한 기수역에서 사는 어종을 섭취하기 위해 강하구 기수역에서도 자주 발견되는 물고기입니다. 실제로 부산 서낙동강 하구 주변에서는 감성돔과 점농어가 ...
나도파브르 - 220718 - 3
탐사기록
l
20220718
제주 금능해수욕장7월 16일 오후 6시경금게 여러마리를 손으로 잡음
바닷물
속 모래위를 기어다녔어요 ...
2020곤충탐사대 - 220702 - 1
탐사기록
l
20220702
황어
바닷물
에있는 황어를 관찰했어요 ...
독의 있는 동식물
기사
l
20220614
찢어져도 해파리에 자세포는 오랫동안 살아 있을 수 있다.만약 해파리에 쏘였을 경우 빨리 응급처치를 해야 한다,상처가 난 부위에
바닷물
로 깨끗이 씻어 독이 퍼지지 않도록 해주고 상처가 난 부위에 식초를 부어주면 좋다. 2,코브라:코브라는 놀라거나 화가 나면 몸의 앞 부분을 새우고 목 뒤에 늘어진 피부와 갈비뼈를 옆으로 펼쳐 우산 모양으로 부풀린다 ...
여러 가지 파도에 숨어 있는 과학적 원리
기사
l
20220605
진동하는 파의 운동으로부터 공기를 압축, 팽창시켜 터빈을 작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비록 효율은 낮지만 주요한 장치들이
바닷물
과는 분리된 별도의 공간에 있어 유지보수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파력발전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세 번째는 월파식 파력발전 입니다. 월파식 파력발전 장치는 파도가 칠 때 일정 높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