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군"(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역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떠올렸다. 그리고 이러한 아이디어로부터 미 해군은 1959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인 ‘트랜싯(TRANSIT)’을 개발했다.트랜싯은 10개의 위성으로 이뤄져 지구 전체에 위성항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지만, 위치 정보를 계산하는 데 수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일방적인 승리였다. 전 세계에서 벌어진 많은 해전 중에서 최대의 승리로 꼽히며, 각국의 해군 교재에도 실려 있다.이순신 장군이 수년 동안 이어진 전쟁에서 이처럼 크게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죽을 각오로 앞장서서 싸운 뛰어난 리더십과 바다와 지형을 잘 활용한 전술, 그리고 대형포를 장착한 ... ...
- 탐루엉 동굴 조난 사고의 기적, 생명을 구한 잠수의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8호
- 통해 수학 모형을 만들어 1908년 최초의 감압표를 발표했다. 이 표는 1955년까지 영국 해군에서 쓰였을 정도로 실용적이었다. 홀데인의 이론은 오늘날의 잠수표의 기초가 됐을 뿐만 아니라, 수심과 잠수시간의 관계를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수학적 알고리듬으로 작동하는 다이브 컴퓨터의 기초가 됐다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출현으로 비로소 성층권 이상 비행이 가능한 기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됐다. 1940년대 미 해군의 후원을 받은 미네소타대는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현대적인 과학기구의 원형을 개발했다. 초기에는 항공공학자들이 아니라 우주선(cosmic ray)을 연구하는 천문학자들이 과학기구의 개발을 주도했다. 196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3월 15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열린 ‘동형암호 표준화 국제회의’에 참석한 미 해군 산하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기관인 우주및해전시스템사령부(SPAWAR)의 사이버보안 담당인 로저 홀먼 박사는 “미군은 미국 내에 많은 토지와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며 “여기에 쓰이는 전력 시스템도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데 도움이 된답니다. 빛 공해를 적게 일으키는 조명을 쓰는 것도 방법이에요. 2014년 미국 해군 천문대 크리스티안 루겐불 연구원은 파란색 빛을 많이 방출하는 일부 LED 조명을 쓰면 빛 공해가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대기 입자에 더 많이 부딪히고,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해군 방위 기술에 특화돼 있습니다. 재료 실험실을 두 곳이나 운영하면서 해군 군용 차량에 들어가는 화학, 야금 기술을 연구합니다. 그런가 하면 온타리오 주 토론토에 있는 연구센터에서는 군인의 안전과 건강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전투기 또는 잠수함에서 군인의 ...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할까. 현재 개발됐거나 개발 중인 레이저 무기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올해 7월 미 해군은 상륙 수송함 폰스호가 페르시아만 인근 해역에서 출력을 150kW(킬로와트)까지 낼 수 있는 레이저포(LaWS)를 발사해 무인기를 격추하는 장면을 공개했다. 군인이 조이스틱의 버튼을 누르자 사람의 눈에는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1869년 개기일식 때의 관측 결과에서 비롯됐다. 당시 미국 다트머스대의 찰스 영 교수와 해군 장교 윌리엄 해크니스는 개기일식을 관측해서 코로나의 분광스펙트럼을 얻었다. 그런데 분석 결과에서 530.3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의 방출선이 확인됐다. 각각의 원소는 포함하고 있는 전자에 고유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바꿨다.“1588년, 규모로나 화력으로나 스페인의 무적함대보다 훨씬 빈약했던 영국 해군이 무적함대를 무찔렀는데, 조수와 바람이 그 승리에 힘을 실어주었다. 정복왕 펠리페 2세는 한탄했다. “나는 인간을 물리치라고 무적함대를 보낸 거지, 신이 보내신 바람과 파도에 맞서라고 한 게 아닌데.””(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