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군"(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잠수함을 타고 어디까지 내려가 봤을까요? 바다를 가장 깊이 탐험한 사람은 미국 해군 장교 출신의 사업가, 빅터 베스코보예요. 그는 지난 5월, 2인승 잠수정 ‘리미팅 팩터’를 타고 해저 1만 927m까지 내려가는 데 성공했답니다.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를 거꾸로 꽂아놓은 것보다도 2000m를 더 ... ...
- 지능×IQ 지능은 어떻게 측정할까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없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고 타잔의 지능이 낮다고 말할 수 있을까.이 교수는 “미 해군이 장병을 선발할 때 최소한의 지적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 지금의 IQ 검사의 토대가 됐다”며 “요즘은 전문가가 언어나 사고, 문제 풀이 능력 등을 다각도로 측정하는 방식의 지능 검사가 ... ...
- [GO!GO!고고학자]난파선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앞바다에 가라앉은 난파선을 발굴하면서 시작되었어요. 초기에는 기술과 장비가 부족해 해군 잠수사의 도움을 빌려야 했지만, 지금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아시아 최대의 수중문화재 발굴선 ‘누리안호’가 있어서 걱정이 없답니다. 2012년에 취항한 누리안호에는 20여 명의 조사원이 20일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적엔 감히 우주인이 되는 것은 생각지도 않았다. 초기 러시아, 미국 우주인들이 모두 해군, 공군, 해병대 출신 조종사들이었던 것처럼 중국도 지금까지 비행한 모든 우주인이 군 조종사 출신이다. 왕야핑도 비행 당시 중국 인민해방군 전략지원부대 소속 조종사였다. 과학 실험을 수행한 것은 나와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역사’라는 제목으로 정식 발간됐습니다. 한편 같은 요지의 가설이 당시 미 해군 전자연구소의 해양학자 로버트 디에츠에 의해 1961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최초로 공식 발표됐고, 해저확장설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사실 맨틀의 대류로 대륙이 이동해간다는 구상 자체는 이보다 앞서 영국의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일은 아니라고 한다. 잠수함 기술을 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틱 프로젝트는 미국 해군 잠수함에서 복무한 경력이 있는 직원인 션 제임스 데이터 기술 전문가가 2013년 제출한 사내연구논문에서 시작됐다. 그는 해양의 재생에너지로 작동하는 수중 데이터센터를 제안했다.이를 바탕으로 MS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의 아름다움을 아이들과 나눈 니콜 스탓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받았다. 우주인은 물론이고 여러 훈련 교관들과 러시아 해병대 구조팀, 그리고 러시아 해군 함정이 동원되는 큰 훈련이었다. 수많은 사람들 가운데 니콜과 나는 몇 안 되는 여성 참여자였다. 그 덕분에 이야기도 많이 나누고, 훈련받은 것에 대해 서로 팁을 알려주기도 했다. 경험과 마음을 공유할 ... ...
- 특명! 태풍을 읽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마셜 우주비행센터는 태풍의 경로를 예측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기도 했어요. 미국해군연구소와 국립해양대기청에서 태풍의 각종 정보들을 수집한 뒤, 기계학습을 통해 인공지능을 만든 거죠.이 인공지능은 GOES-16 기상위성이 관측한 정보를 분석해 태풍의 강도와 풍속을 계산하고, 매시간 태풍의 ... ...
- NASA 60주년, 달부터 화성까지과학동아 l2018년 11호
- 58년 10월 1일 NASA가 설립됐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융합기술연구센터장은 “육군, 해군, 공군, 국가항공자문위원회 등 뿔뿔이 흩어져 진행되던 우주 과학기술을 한데 모아 우주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이라고 말했다.그런데, 1961년 4월 12일 스푸트니크 쇼크보다 더 충격적인 사건이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등대로 올라가는 가파른 길에는 녹슨 전차가 보였다. 축주는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해군기지를 두고 연합군과 마지막까지 싸웠던 곳이다. 섬 전체가 거대한 환초로 둘러싸여 외부에서 접근하기가 어려워서다. 실제로 등대에서 내려다보니 환초는 섬을 보호하는 거대한 방파제였다. 지름이 4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