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발생 즉시 넓은 범위에 큰 피해를 주는 무시무시한 자연재해다. 그러나 지진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특정한 소리를 식별하면 지진의 전조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19년 미국 로스 앨러모스 국립연구소 연구팀은 직접 만든 2차원 수치예보 모형에 ... ...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값이다. 연구팀은 먼저 확진자 데이터를 분석해 확률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큰 값을 찾았다. 예를 들어 10대와 10대가 만났을 때보다는 10대와 20대가 만났을 때, 10대와 30대가 만났을 때 감염전파율이 낮을 거로 예측해서 그래프를 여러 개 그린다. 그런 다음 예측한 그래프와 나이대별 데이터가 ... ...
- [Chapter 3] 사회 문제의 답 찾는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1,000명만 조사해도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큰 수의 법칙’ 때문이다. 큰 수의 법칙은 이론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p인 어떤 사건에 대해 시행 횟수를 늘릴수록 그 사건이 실제로 발생하는 비율이 p에 가까워진다는 이론이다. 셀 수 없이 많이 동전을 던졌을 때 특정 면이 나오는 비율이 ...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만든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혈당의 변화를 수치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건강관리에 큰 동기부여가 되기도 했습니다. 지나치게 달달한 간식, 탄수화물이 편중된 식사를 했을 때 치솟는 수치를 보며 다음 식사 때는 좀 더 탄단지 영양 균형이 잘 잡힌 메뉴를 고르게 됐달까요. CGM 측정 수치를 ... ...
- 수학은 평화지킴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한편 x > y와 a < b일 경우나 x < y와 a > b일 경우 b/a의 비율이 y/x의 비율 제곱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승리하는 쪽이 결정된다. 란체스터 법칙이 잘 맞아떨어진 사례도 있지만, 실제 전쟁에는 변수가 많아 이 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란체스터 법칙이 ... ...
- 영화, 드라마 흥행 예측하는 AI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5,000만 달러에 달했다. 그러나 에파고긱스의 예상에 가깝게 600만 달러라는 적은 실적으로 큰 손해를 입었다. 이 때문에 할리우드 대형 영화 제작사인 ‘워너 브라더스’는 2020년부터 미국 AI 기술 회사인 시네리틱과 손을 잡았다. 시네리틱은 영화 주제, 출연 배우 등에 따른 기존 흥행 데이터를 ... ...
- “과학자가 긍지를 느끼는 연구 생태계 만들고파”_황정아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받는 분야는 아닙니다. 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이번 총선은 과학기술이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어요. R&D 예산 삭감의 후폭풍을 막아야 한다는 데 정치계와 대중들의 공감대가 형성돼 있습니다. 과학계의 연구와 요구가 법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징검다리가 되고 싶습니다. Q 더 나은 연구 환경을 ...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석사 학위를 받은 논문도 METI가 주제였죠. 무엇보다 한국에서 METI를 연구한 경험 자체가 큰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궁극적인 목표는 저의 예술로 인간과 우주를 잇는 것입니다. 광대한 우주에 비해 인간은 본질적으로 유한하고 미약하며 외로운 존재입니다. 그래서 우리 인간은 우주와 연결되길 ... ...
-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다리는 것도 하루 이틀이지. 벌써 이게 며칠 째야! 일정 짠 사람 누구야? 흥부 아냐?”큰 소리의 주인공은 놀부였어요. 흥부가 마구 화내는 놀부를 달래고 있었죠.“이게 무슨 일인가요?”꿀록 탐정이 흥부에게 물었어요.“꿀록 탐정님! 아시다시피 놀부 형님이 죄를 뉘우치고 그간 사이좋게 잘 ... ...
- [에디터 노트] 특이점과 빅뱅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과학정책’ 칼럼이 그 첫걸음입니다. 2023년 하반기 R&D 예산 삭감 이슈로 과학기술계가 큰 충격을 받았을 때 과학동아는 무슨 이야기를 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그렇게 비인기 삼엽충 연구가 너무도 절실한 김공룡 박사 스토리가 탄생했습니다.아직 보지 못한 분이 있다면 1월호부터 정주행해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