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그늘
음지
그림자
응달
섀
명암 정도
암영
d라이브러리
"
음영
"(으)로 총 57건 검색되었습니다.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소음의 파동과 크기는 같지만 반대위상(-90˚)의 음파를 중첩, 서로 상쇄시켜 소리의
음영
지역을 만든다. 파동의 물리적 성질인 중첩과 상쇄간섭의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 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골라 제거할 수 있다는데 있다.하지만 능동소음제어 방식은 여러가지 한계가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척주(脊柱) · 골반 · 두개골 등에서 잘 발생한다골경화 부분은 X선촬영으로
음영
(陰影)이 진하고 조직학적으로는 골해면질(骨海綿質)이나 골수강은 경화하여 충실골조직(充實骨組織)으로 차게 된다 대립형질(對立形質)에 대응하는 한 쌍의 유전자 대립인자라고도 한다상동염색체(相同染色體)가 ... ...
③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영화 감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맞춤), 운동시차(관찰자와 물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한 변화)와 심리적인 요인(원근법,
음영
) 등을 기본으로 3차원 공간을 지각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3D 시청의 불편함이나 위화감이 발생할 수도 있다.따라서 자연스러운 3D 디스플레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실제의 3차원 공간을 보고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척주(脊柱) · 골반 · 두개골 등에서 잘 발생한다골경화 부분은 X선촬영으로
음영
(陰影)이 진하고 조직학적으로는 골해면질(骨海綿質)이나 골수강은 경화하여 충실골조직(充實骨組織)으로 차게 된다 대립형질(對立形質)에 대응하는 한 쌍의 유전자 대립인자라고도 한다상동염색체(相同染色體)가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것이 가장 어렵다. 2차원인 사진으로 3차원인 조각을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보통
음영
감과 그림자로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엉성하게 찍으면 그림자에 가려 조각의 색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고 구석진 부분은 제대로 모양이 살지 않는다. 사진작가들은 거울에 빛이 반사되는 것처럼 여러번의 반사를 ... ...
UFO추락사진 사실인가 조작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UFO의 존재를 둘러싼 논란은 사진에 찍힌 장면을 두고 곧잘 벌어진다.진짜와 가짜를 구별짓는 기준은 무엇일까?가짜다1. 초점 - 사진 전 ... 사진은 흐릿한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군인과 UFO의 모습은 사진의 배경보다
음영
과 섬광이 뚜렷하다. 이런 현상은 사진으로 조작해내기 어렵다 ... ...
21세기 영상혁명, 컴퓨터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수집해 결합하는 과정을 말한다.이 과정에서 마치 가상의 조명장치로 빛을 비추듯
음영
을 조정하고, 그림자를 드리우거나 사물의 질감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 한 프레임을 렌더링하는데 10시간이 넘게 걸린다고 하니 11만64프레임으로 만들어진 토이스토리를 렌더링하는데 얼마나 많은 시간이 ... ...
워드프로세서로 1년 계획 세우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방법으로 만든 것이지만 각 셸 사이의 선을 나타나게 했다. 또한 요일을 표시하는 줄에
음영
을 드리워 눈에 띄게 만들었다.②언뜻 보면 매우 어려운 느낌을 주는 디자인이지만 셸 사이를 선으로 이어보면 커다란 하나의 표임을 알 수 있다. 셸 사이사이의 선을 교묘히 지움으로써 입체적으로 보이게 ... ...
1 존재는 밝혀졌지만 형태는 불확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방사성동위원소를 동시에 신선한 사체의 경혈에 주입, 오토라디오그램에서 선 모양의
음영
이 나타난 부위를 해부하자 염색 부위가 임파관의 분포에 따라 존재한다는 사실도 알려졌다.필자는 침자극의 감응이 전파되는 현상을 신경계의 전도기능과 연결시켜 연구를 진행했다. 즉 신경을 따라 ... ...
화장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바르는 예는 흔치 않았다. 요즘에는 눈두덩이에 푸른색 보라색 노란색 등 화장품을 발라
음영
을 줌으로써 입체감을 살리고 있으나 예전에는 화황을 눈두덩 혹은 이마에 발라 입체감을 약간 살렸을 뿐이다.중국문헌은 신라의 남녀노소가 신분의 귀천에 가림없이 향낭(香囊)을 패용하였는데 주로 난사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