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Man’s best friend).” 영미권에서 개를 칭하는 별명이다. 1만 5000여 년간 개는 주택 경비, 수렵 및 목축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인간을 도왔다. 2024년 현재 이 자리를 로봇 개 4족보행 로봇이 노리고 있다. 인공지능(AI)의 도움으로 더 빠르고, 더 유능해진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가 2023년 11월 30일부터 12월 13일까지 약 2주간 두바이에서 열렸습니다. 각국 정상들이 모여 화석연료의 점진적 폐지를 논하는 회의가 대표적인 산유국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이번 회의는 시작부터 큰 관심을 끌었는데요. 회의에서 나온 의미 있는 결과와 한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기초과학 vs. 응용과학 어떻게 다를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삼엽충 연구를 마음껏 하고 싶은 김공룡 박사에게 시련의 날들이 이어지고 있다. 열심히 지원서와 제안서를 써냈지만, 계속해서 연구과제 선정에 탈락한다. 반면 원하는 과제를 수주하는 데 성공한 건너편 연구실은 축제 분위기. 침울한 김공룡 박사에게 ‘어쩔 수 없다’는 친구의 위로 아닌 위로 ...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우리의 메르센, 그럼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지 못했을까. 결코 아니었다. n이 소수일 때 2n- 1 꼴의 소수가 많다는 메르센의 생각은 소수를 찾는 획기적인 알고리듬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소수 연구에 있어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하지만 18세기까지 ...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시 오일러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리만 가설보다 더 오래된 난제 이야기다. 한 편지에서 시작된 소수에 관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이 편지 한 통에서 시작됐다. 당시 최고의 수학자인 오일러에게 18세기 러시아 수학자 크리스티안 골드바흐가 편지를 보냈다. 난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만화처럼 로봇과 친구가 될 수 있는 사회는 어느 나라에서 먼저 실현될까? 필자는 이 답이 미국, 한국, 중국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실현될 것이라고 감히 예측한다. 로봇과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기 위해선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각각 성장해야 한다. 국제로봇연맹(IFR)이 20 ... ...
- 다이아몬드에 박힌 초대륙 이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보석의 왕이라 불리는 다이아몬드. 그 속에는 멀게는 수십 억 년 전부터 가깝게는 수 억 년 전에 있었던 초대륙의 움직임이 단단하게 박혀있습니다. 땅속 깊이 끌려 들어갔다가, 찢어지는 대륙과 함께 이동하고, 다시 지표면 근처까지 솟아오른 다이아몬드를 따라 초대륙 여행을 함께해 봅시다. 초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낯선 정적이 감돌았다새들이 모이를 쪼아 먹던 뒷마당은 버림받은 듯 쓸쓸했다. 죽은 듯 고요한 봄이 온 것이다.” 1962년 출간된 ‘침묵의 봄’은 살충제 사용으로 새들이 죽어버려 침묵에 빠진 봄을 형상화하며 전 세계적인 환경 운동을 일으킨 고전이다. 이 책을 지은 레이첼 카슨은 어떤 사람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컴퓨터로 소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등장하면서 막연히 갖고 있던 거대 소수를 향한 관심이 폭발하기 시작했다. 최신 슈퍼컴퓨터를 갖춘 연구소에서 컴퓨터를 돌려 메르센 소수를 하나둘 발견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다 미국의 IT 전문가 조지 월트먼이 누구나 컴퓨터만 있으면 소수를 찾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생성 인공지능(AI)이 인간 대신 보고서를 작성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심지어 인간보다 더 잘해내기까지 한다. 인간보다 똑똑한 AI 탄생의 주역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이다. 대규모 언어모델은 로봇공학 분야에도 변곡점이 될 수 있을까. 똑똑한 뇌에 걸맞는 기계 몸이 탄생할지 알아보자. ‘AI 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