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정식"(으)로 총 1,2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싶어요. 일단 내년에는 대학 수준 수학이 목표예요. 행렬 계산을 할 수 있는 기능과 방정식을 쓰면 자동으로 답을 계산해주는 기능도 추가하고 싶어요. Q. 굿노트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종이에 수학 문제를 풀다가 실수하면 해당 종이 전체를 뜯어버려야 했어요. 하지만 디지털 종이를 사용하면 ... ...
-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완전히 대체하는 독립적인 예보 능력을 갖췄다고 보긴 어려워요. 또한 날씨 변화를 방정식으로 계산하는 수치예보모델과 달리, AI는 입력값과 출력값의 인과관계를 알 수 없는 ‘블랙박스’ 문제가 있어요. 예보관 입장에선 AI가 날씨 예보의 근거는 알려주지 않고 예측만 보여주는 셈이에요. Q. ... ...
- 사랑은 변한다! 러브-어페어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영국의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의 두 주인공을 대상으로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런데 이 식만으로는 둘의 감정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 없다. R(t)와 J(t)가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두 함수는 어떻게 구할까? 로미오의 감정인 R(t)와 줄리엣의 감정인 J(t ... ...
- 군침 자극~ 맛있는 수학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달인 소시지 추측Part4. 군침 돌고 맛있게 계량 수학Part5.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Part6. 수학자의 레시피, 그 맛은?Part7. 피자 먹을 때 나도 모르게 수학한다! 빼어난 정리Part8. 피자를 공평하게 먹는 방법! 피자 정리Part9. 불만 없이 케이크 나누기 고독한 분할법Part10. 어떤 모양도 단번에 ...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용해 안전하고 맛있게 조리할 수 있는 정확한 시간을 계산했다. 물체의 열전도 방정식을 변형해 고기의 중심이 원하는 온도까지 올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과 병원균을 살균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알아낸 것이다. 예를 들면 돼지갈비 198g은 80℃에서 10시간 정도 수비드하는 것이 좋다. 그는 ... ...
- 수학자의 레시피, 그 맛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생크림이라면 응고된 크림보다 말랑말랑해서 1.5배 더 두껍게 발라야 한다. 크림티 스콘 방정식에 따르면, 스콘과 잼의 가장 맛있는 두께는 스콘의 반지름에 좌우된다. 크림 층의 두께는 잼 층보다 두꺼운데 그 이유는 잼의 밀도가 크림보다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잼을 크림보다 아래쪽에 놓지 ... ...
-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울음소리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대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진동막이 움직이는 것을 하나의 방정식으로 나타냈다. 이 식을 풀어낸 결과, 연구팀은 진동막이 내는 울음소리는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커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한 나무와 그 주변에서 우는 같은 종의 매미들은 서로 리듬을 맞춰,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학적이라고 입을 모은양팔 저울 안정현 제대로 수학적인 문제라고 생각했어요. 방정식 문제를 푼다고 생각하면 되거든요. 출연자들이 어떻게 광물 무게를 맞혔는지 수식으로 따라가 볼게요. 방송에선 출연자들이 3팀(2명, 2명, 3명)으로 나뉘어 팀별로 문제를 풀었는데요. 일단 색깔의 영어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과 그 핵심 아이디어를 기술한 방정식인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에도 π가 들어가는 걸 보고 ‘세상은 수학으로 이뤄져 있다’라는 사실을 강하게 깨달았습니다. 지금도 이 생각에 변함이 없어서 이를 널리 알리는 것이 인생의 목표래요. 인터뷰 동안 사쿠라이 작가는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방정식을 좋아한다는 내용을 썼는데, 소집면담에서 방정식이 좋은 이유, 다양한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에 관한 질문을 받았어요. 그중 ax = b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해보라는 질문이 기억에 남아요. 단순히 보면 x는 a 분의 b라고 답할 수 있지만, 함정이 숨어있어요. a가 0인지 아닌지에 따라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