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로
뱃길
선로
도랑
개천
도량
d라이브러리
"
물길
"(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 이상 높아졌고, 특히 겨울 수온이 4℃ 이상이 높아져 해조류의 성장을 방해하고 있다.
물길
이 막혀 버린 육지와 바다댐 건설과 지하수 개발, 방파제와 해안도로 건설, 빗물 배수시설이 육지와 바다의 자연스러운 물 흐름을 막는 것도 갯녹음의 원인이 된다. 바닷물은 증발하면 대기 중에 수증기로 ...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있었다. 다윈의 숙소도 이 곳에서 멀지 않았다고 한다. 다윈이 산책할 때 따라갔다는
물길
은 산에서 솟아 나는 물을 시내로 끌어들이는 시설이었다.혹시 다윈의 흔적을 더 찾을 수 있을까 싶어 퀴타다보아비스타 국립역사박물관을 찾았다. 역사박물관이지만 현관에는 커다란 운석이 있고 2층에는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수영, 뱃놀이를 즐길 수 있게 리조트를 만들어 ‘사막의 천국’이라 불렀다. 하지만
물길
이 막히면서 호수가 썩고 염도가 올라가기 시작했다. 멕시코에서부터 역류해 들어온 공장폐수는 생태계를 위협했고 결국 1950년대 이후 이 리조트는 환경재앙의 대명사가 됐다.아마존 열대우림은 지구 전체의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하더라도 상황은 그리 나아지지 않는다. 거대한 방조제가 강 입구를 가로막고, 보와 댐이
물길
을 동강내고 있기 때문이다. 뱀장어들이 본연의 모습대로 살아갈 수 있는 자연 하천이 거의 사라져가고 있는 셈이다. 인류가 존재하기도 전부터 오랫동안 반복돼 온 뱀장어들의 순례를 막을 권리가 과연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뿐만 아니라 건물에 빗물 길을 만들어 주변 강과 연결해 건물 때문에 끊긴 녹지와
물길
을 연결시켰다. 텔레토비 동산?독일의 유명 생태건축가 거넷 민커교수가 지은 돔형 건축물. 굽지 않은 흙 벽돌을 이용해 지은 뒤 녹지로 덮어서 마치 텔레토비가 사는 집처럼 보인다. 자연에서 난 재료로 만들어 ... ...
백두대간 종단열차를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작은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현장!백두대간이산가족물고기?백두대간 산줄기에 의해
물길
이 나뉘어 있으므로 다른 유역에 사는 물고기는 서로 만날 수 없다. 그런데 가끔 산을 넘어서 다른 유역에서도 발견되는 물고기가 있다.찬 물에 사는 냉수성 민물고기‘금강모치’는 한반도에서는 한강 ... ...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쉽게 흘러넘친 거죠.”그러자 이거참 씨가 고개를 갸우뚱한다.“흠…. 하지만 종종 논에
물길
을 내느라고 논둑을 고친 적이 있어. 근데왜하필 이번에만 바닷물이 흘러넘친건지 궁금하구만.”사건 분석 ❸ 바닷물을 당기는 달“그…, 글쎄요. 왜 유독 어제만 심하게 흘러 넘쳤을까요….”닥터고글이 ... ...
100년의역사가 흐르는 수도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공급을 책임지고 있는 건 정수장만이 아니었어. 거미줄처럼 뻗은 서울 상수도 지하
물길
을 살펴보니 배수지가 곳곳에 있더라고. 배수지에서는 정수지에 문제가 생겨도 수돗물 공급이 끊어지지 않도록 12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수돗물을 저장하고 있대. 깨끗한 수돗물을 생산하는 정수장과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위해서는 망원경 같은 값비싼 장비는 필요치 않다. 하지만 하늘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물길
을 다 담을 만한 광각 렌즈가 필요하다(초점거리에 따른 렌즈의 구분은 과학동아 2008년 6월호 참고).대략 초점거리 28mm 이하의 광각렌즈를 사용하면 되지만, DSLR 카메라의 렌즈를 고를 때는 주의할 점이 있다. ... ...
바다의 '젖줄' 하구역 살려낸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서식공간을 회복하는 연구로 이뤄진다. 연구단은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수중보(강의
물길
을 막아 수위를 일정하게 하는 구조물)와 연륙도로(섬과 육지를 잇는 다리)를 철거하거나 구조물 중간에 구멍을 뚫어 물이 다시 흐를 수 있도록 고칠 계획이다. 강화도에는 작은 방조제들이 곳곳에 많은데,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