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음"(으)로 총 4,591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무슨 일이? 네로가 기침하는 이유는? “오랜만이네요, 네로 군! 잘 지냈나요?”반가운 마음에 개코 조수가 먼저 네로에게 인사했어요.“안녕하세요. 콜록콜록. 개코 조수님. 꿀록 탐정님도 안녕하세요. 콜록콜록.”그런데 인사하는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았어요. 얼굴은 빨갛고, 몸을 오들오들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는 “소수교의 신조가 ‘수학 점수를 잘 받자’가 아니라 ‘수학을 사랑하자’란 점이 마음에 들었다”라고 밝혔다. 또 소수를 생각하다 보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수학에 관한 사고를 확장하게 된다. 소수교 학생들은 재미를 위해 수학 문제를 풀다가도, 책을 읽다가도 소수를 찾는다. 소수는 ... ...
- [Chapter4] 악마, 불법, 나선 … 별별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많은 수학자는 소수를 정말 사랑한다. 사랑하는 대상의 사소한 점마저도 알고 싶은 마음처럼, 수학자들은 소수의 작은 성질에도 주목하며 하나하나 이름을 붙여왔다. 메르센 소수, 페르마 소수를 비롯한 다채로운 이름의 소수가 겨울밤을 수놓는 별만큼 가득하다. 이중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때 틈틈이 장 교수는 수학, 역사 등의 책을 읽었다. 1976년 문화대혁명이 끝나자, 그는 마음속에 품어왔던 수학자란 꿈을 이루기 위해 공부를 다시 시작했다. 북경의 한 자물쇠 공장에서 일하며 입시를 준비했고, 23살에 드디어 중국 베이징대학교 수학과에 진학했다. 29세에 같은 학교에서 석사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첫 시작은 캐릭터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계정을 만들고 나면 로블록스 설치가 필요합니다. 로블록스 홈페이지에 떠 있는 게임 중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해 클릭한 뒤 재생 버튼을 누르면, 로블록스가 컴퓨터에 설치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자동으로 해당 게임이 시작되어 바로 게임을 즐길 수 있죠. 태블릿PC나 스마트폰으로 로블록스를 ... ...
- 소수교가 소수를 즐기는 방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사랑하기 위한 기반을 학교에서 이미 다진 셈이다. 수학 교사도 소수를 좋아하는 마음을 실컷 드러낸다. 소수교 지도 교사인 김백진 교사는 평소 자신의 차 번호가 소수 분류 중 하나인 ‘소피 제르맹 소수(70쪽 참고)’라고 학생들에게 자랑한다. 그는 “소수 개념을 인식하고 생각하는 것은 ... ...
- [에디터노트] 생성AI 격류, 노부터 젓기 전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들어가는 이미지 일부를 생성 AI로 그려왔습니다. 초반에는 ‘이게 되네?’ 신기한 마음이었습니다. 그런데 갈수록 ‘쓸 만하네’→‘잘 하네’→‘이건 생성 AI에게 맡겨야겠는데?’ 그 능력을 인정하게 됐습니다. 그러다 올해 첫 과학동아 표지까지 왔고요. 올해는 이런 생성 AI가 상용화되는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향해 열심히 달려가는 개미를 보고 있으니 왠지 그 앞을 막아서 보고 싶은 음흉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앞을 막으면 어떤 반응을 보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로보티즈에서 IR/PR 업무를 담당하는 이승현 프로는 “우선 스피커로 안내 음성을 내보낸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어떤 안내가 나오는지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아니라 산책하고 사유하는 과정을 통해 시작됐거든요. 서울시립과학관이 과학을 사랑하는 마음 하나만 가지고 편하게 드나들 수 있는 공간이길 바랍니다 ... ...
- 원숭이가 책을 쓴다고? 무한 원숭이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노트북을 주고 키보드를 마음대로 두드리라고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lqnceyeioslowdnlvnlsharkwejad처럼 알 수 없는 알파벳이 연이어 나타날 것이다.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니 ‘shark’처럼 아는 단어도 있다. 설마 키보드를 막 두들기다 보면 책 한 권도 쓸 수 있는 건 아닐까? 18~19세기 유럽 사람들도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