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개"(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과 인공지능(AI) 기술이 각각 성장해야 한다. 국제로봇연맹(IFR)이 2024년 1월 1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2022년 세계 산업용 로봇밀도 1위 국가다. 여기에 더해 영국 언론사 토르토이스 미디어(Tortois Media)가 2023년 6월 28일 발표한 세계 AI 지수에 의하면 한국은 전세계 6위의 AI 강국이다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CETI 연구팀은 해당 데이터를 기후-통제 데이터센터에 보관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또한, AI를 활용해 코다의 구조를 분석하고 향고래 챗봇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AI 알고리즘으로 고래 외의 또 다른 동물들의 소리를 해석하려는 시도도 있습니다. 미국의 ‘지구종프로젝트(Earth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사용할 수 없다. 유럽연합(EU) 역시 2023년 12월, 모델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 정보를 공개하고, 저작권법을 따르는 정책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AI 법’을 합의했다. 생성 AI의 핵심인 데이터를 저작권 규제로 쓸 수 없게 된다면,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성능도 더 성장하기 어렵다.2018년 창업한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 있다.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건 슈퍼컴퓨터를 이용해도 몇 년이 걸리므로 비공개 개인 키를 알아내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리만 가설이 증명되면 RSA 암호에 어떤 영향을 줄까. 정답은 ‘큰 영향은 없다’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리만 가설은 소수의 개수가 대략 몇 개인지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건 어려운 일방향성이 생긴다. 물론 실제 RSA 암호에서는 조금 더 어려운 계산을 한다. 공개키 암호시스템은 키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비밀키를 공유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사용자들이 서로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매우 혁신적인 암호체계로 평가받는다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AI 강화학습의 성과입니다. 그런가 하면 일본 도쿄대 연구팀이 작년 연말에 공개한 ‘알터3’ 로봇은 ‘알아서’ 움직입니다. 디테일한 설명은 필요 없습니다. ‘귀신 흉내를 내줘’ 한 마디면 ‘두 팔을 든다’ ‘고개를 기괴하게 젖힌다’ ‘입을 벌린다’, 로봇이 직접 코드를 짜서 움직입니다. ...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런 협동로봇이 지능을 더해 점점 똑똑해지는 추세다. 2023년 7월 구글 딥마인드 팀이 공개한 AI 협동로봇 ‘RT-2’는 이미지와 텍스트 정보를 학습해 ‘테일러 스위프트에게 콜라를 줘’와 같은 명령어를 이해하고 행동한다. 협동로봇에 지능을 더하는 원리가 궁금하다면 3파트를 확인하자. QR코드를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중 하나는 학습 모델이 오픈 소스로 공개돼 있었던 것이다. 좋은 학습 모델들이 모두에게 공개되다 보니, 전 세계의 AI 연구진들은 같은 모델을 가지고 개발에 열중했다. 여기에 풍부한 데이터가 합쳐져 급격한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대규모 언어모델은 오픈 소스 모델인 트랜스포머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각 참가자나 팀별로 얼마나 자주 GIMPS에 참여하는지 순위를 매겨 GIMPS 홈페이지에서 공개한다. 그러다 보니 시간은 오래 걸리지 않지만, 즐길 수 있는 여가 활동으로 생각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앞으로 또 어떤 거대 소수를 발견할까? 현재 가장 거대한 메르센 소수로 추정되는 소수는 6년 전인 201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사람의 의견을 받아 어떤 문제를 폴리매스 문제로 선정할지 정했다. 그렇게 문제를 정해 공개하면 누구나 댓글로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달았다. 첫 문제는 수학 교사, 수학자 등 23명이 수시로 댓글을 달면서 37일 만에 풀었다. 그런데 이후 차례로 폴리매스 문제가 발표됐지만, 3년 동안 성과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