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개"(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미래로 떠나는 배달 탐방기, 자율주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서빙 로봇, 로봇 청소기이미 자율주행 로봇은 우리 일상 곳곳에 있어. 하지만 모두 실내에서만 운행되던 로봇이지. 그런데 올해부턴 바깥에서 ... 기획] 미래로 떠나는 배달 탐방기, 자율주행 로봇Part1, 자율주행 로봇, 도보를 걷다!Part2.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Part3. 자율주행 세상 온다?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가장 방대한 3차원 모델로 꼽힌다. 위 이미지는 국립대기연구소의 흑점 시뮬레이션이 공개되기 약 130여 년 전인 1881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에티엔 트루블로가 그린 태양 흑점이다. 쌍을 이루어 상호작용하는 흑점의 모습이 아주 세밀히 나타나 있다. 책 ‘코스미그래픽’의 저자 마이클 벤슨은 이 ...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하나를 패스에 따른 조직력이라고 보고, 이를 그래프 이론으로 분석한 논문을 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아카이브에 게재했다. 먼저 그는 선수 11명을 11개의 점으로 보고, 선수들 간의 패스를 선으로 본 뒤 그 관계를 행렬로 나타냈다. 예를 들어 4명의 선수가 그림 ❶과 같이 패스를 주고받았다고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2023년 11월 23일 한 편의 논문을 통해 아마테라스 입자 관측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를 공개했다. 살다 보면 우리가 서 있는 지구가 우주에 떠 있는 천체라는 사실을 종종 망각하곤 한다. 하지만 당신이 기사를 읽는 지금도 지구는, 그리고 당신의 몸은 우주와 상호작용하고 있다. 대표적 예시가 바로 ... ...
- 쌍둥이 소수 추측 신드롬의 전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사람의 의견을 받아 어떤 문제를 폴리매스 문제로 선정할지 정했다. 그렇게 문제를 정해 공개하면 누구나 댓글로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달았다. 첫 문제는 수학 교사, 수학자 등 23명이 수시로 댓글을 달면서 37일 만에 풀었다. 그런데 이후 차례로 폴리매스 문제가 발표됐지만, 3년 동안 성과가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건 어려운 일방향성이 생긴다. 물론 실제 RSA 암호에서는 조금 더 어려운 계산을 한다. 공개키 암호시스템은 키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비밀키를 공유할 수 없는 환경에 있는 사용자들이 서로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매우 혁신적인 암호체계로 평가받는다 ... ...
- 휴머노이드 로봇의 두 가지 트렌드... 꿈vs.실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각국의 기업에서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모습을 가만히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트렌드를 발견할 수 있다. ‘휴머노이드(인간형)’라는 이름에 걸맞게 인간과 닮았거나, 표정도, 얼굴도, 심지어 머리도(!) 없는 모습이거나. 이들의 모습 뒤에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바라보는 각 기업의 시선이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사용할 수 없다. 유럽연합(EU) 역시 2023년 12월, 모델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 정보를 공개하고, 저작권법을 따르는 정책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AI 법’을 합의했다. 생성 AI의 핵심인 데이터를 저작권 규제로 쓸 수 없게 된다면, 대규모언어모델(LLM)의 성능도 더 성장하기 어렵다.2018년 창업한 ... ...
- 업사이클드푸드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참깨와 들깨, 땅콩의 기름을 압착한 뒤 남은 유박을 그래놀라와 우유로 만드는 조리법을 공개했습니다. 김민영 연구원은 “유박은 참깨 등 기본 형태로도 많이 섭취하기 때문에 살균이 필요 없다”며 “유박을 잘게 부수고 기름과 꿀을 넣어 구워주면 단백질바 등의 간식을 만들 수 있다”고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AI 강화학습의 성과입니다. 그런가 하면 일본 도쿄대 연구팀이 작년 연말에 공개한 ‘알터3’ 로봇은 ‘알아서’ 움직입니다. 디테일한 설명은 필요 없습니다. ‘귀신 흉내를 내줘’ 한 마디면 ‘두 팔을 든다’ ‘고개를 기괴하게 젖힌다’ ‘입을 벌린다’, 로봇이 직접 코드를 짜서 움직입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