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Space Math] 몰랐던 지구 정보 밝힌다!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위성은 가시광선뿐 아니라 적외선 영역의 256개 파장 대역을 측정해 조사하려는 대상의 고유한 특성을 알아낸다. 예를 들어 위성이 찍은 강 사진을 분석해 녹조와 같은 이상징후를 판별할 수 있다. 루미르는 SAR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기존 카메라는 야간에는 관측이 불가능하고 구름과 비를 투시할 ... ...
- [꿀꺽! 수학 한 입] 마트에 가면~♪ 과자도 있고, ‘숫자’도 있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놀이북 25쪽과 함께 보세요! 야호! 마트다! 여기에 있는 과자를 다~ 사고 싶지만…, 용돈을 아끼려면 물건을 신중하게 골라야겠죠. 저렴하면서도 신선한 제품을 사려면 이 ‘숫자’를 제대로 알면 된다는데…. 어떤 숫자냐고요? 지금부터 마트로 함께 떠나봐요! 소비기한? 유통기한? 이날까진 ...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순간을 놓치면 거의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 무중력과 진공으로 대표되는 우주 공간의 고유한 특성 때문이다. 영화 ‘그래비티’에는 우주에서 겪을 수 있는 여러 어려움과 위험성이 잘 표현돼 있다. 우주 유영 장치의 연료가 다 떨어져서 바로 눈앞의 동료를 구출하지 못하고 서로 마냥 멀어져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3 2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구르면 더욱 높이 올라가는 것처럼, 이번 실험의 진자도 짧은 진자를 움직이면 짧은 실의 고유한 진동수에 맞춰 실을 타고 힘이 전달돼 짧은 진자가 크게 진동하고, 긴 진자를 움직이면 긴 실의 진동수에 맞춰 긴 진자가 크게 진동하게 된 거랍니다. 한걸음 더!1980년대 팝송이 컴퓨터를 망가트린다 ... ...
-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점의 크기로 표시한 거예요. 이는 세계적으로도 찾기 어려운 우리나라 천문학만의 고유 특징이라고 할 수 있죠. 별의 밝기를 표시하는 건 매우 어렵지만 중요한 일이에요. 천상열차분야지도만 보더라도 우리나라의 천문학이 역사적으로도 과학적으로도 세계적으로 자랑할만한 수준이었다고 할 수 ... ...
- [광고] 담수생태계 보호와 생물자원 보전을 위해 노력하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제작된 표본도 수십 년, 수백 년이 흐르면 표본의 고유한 색이 흐려지거나 형태가 훼손될 수 있어요. 그래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는 표본을 ‘디지털 정보화’해서 영구히 보전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답니다 ...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이것을 바탕으로 세차운동 외에도 별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각기 위치를 달리하는 ‘고유운동’을 발견한 거예요. 이는 하늘에 떠있는 별들이 거대한 수정구에 박혀 지구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는 ‘천동설’에 완전히 반대되는 생각이었죠. 별 지도를 분석하면서 별의 새로운 특성을 발견하고 당시 ... ...
- [특집] 어린이과학동아 아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두긴 아쉬워서 준비했다! QR 코드 쿠키에 삽입한다? QR 코드는 사람의 지문처럼 고유한 정보를 담은 문양이에요. 생산 정보 등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과일 스티커처럼 식품 식별에도 종종 쓰이지요. 하지만 스티커를 붙이면 쓰레기가 발생합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본 오사카대학교 ... ...
- [가상 인터뷰] 공룡 멸종시킨 소행성, 얼마나 강력했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내게 임시번호를 부여해. 내 궤도가 확실해지면 그땐 진짜 이름을 선물 받지. 발견자가 고유이름을 제안할 수 있어서 소행성 중에는 제임스본드, 마릴린 먼로, 허준, 장영실 같은 유명인들의 이름이 붙은 친구들도 있단다. 그런데 너가 지구에 엄청난 영향을 줬다고?6600만년 전 백악기 말기에 공룡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님은 할로윈 준비 중! 가짜 피로 친구를 놀래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1호
- 쌓일까요? 정답은 액체의 밀도입니다. 밀도는 일정 부피 당 질량의 크기로, 물질마다 고유한 값을 지닙니다. 그래서 밀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섞으면 밀도가 큰 물질은 가라앉고 밀도가 작은 물질은 위로 떠올라요. 식용유의 밀도는 1ml 당 약 0.9g으로 셋 중 가장 작아요. 물의 밀도는 약 1g/ml이고,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