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유"(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상처 치유하는 금속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브래드 보이스 미국 샌디아국립연구소 재료과학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손상된 금속 고유의 미세 구조가 가열 없이 진동만으로 복구되는 현상을 실험으로 확인했다고 7월 1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6223-0 차량과 건물, 다리 등을 제작하는 공학 분야에서는 작은 ... ...
-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곤충 등 각 생명체의 고유한 특성을 이용해 만들어진 로봇이 있어요. 나비의 날개, 지렁이의 움직임 등 모든 게 로봇의 원리가 될 수 있답니다. 자연 모사 로봇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싶을 때, 그 해법을 자연에서 찾아 자연을 닮게 만든 로봇이에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김대윤 박사팀은 ... ...
-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다운스 곡선’이라 불리는 이러한 수신 강도 패턴은 중력파 배경만이 가질 수 있는 고유한 패턴으로서 중력파 배경을 기타 잡음으로부터 구분해내는 지표가 됐다. 25년간 집념으로 증거를 모아온 이유 우리 은하에는 전파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한 밀리초 펄사들이 굉장히 많다. 우리가 ... ...
- 과학이 진실을 밝히는 방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중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 STR 분석은 각각의 가닥에서 반복되는 STR의 개수를 분석해 고유한 값을 얻는다. 예를 들어 AGAT라는 염기서열이 한 가닥에서는 7번, 다른 한 가닥에서는 6번 반복된다면 (7,6)이라고 표현하는 식이다. 분석이 완료되면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해 용의자나 ... ...
- [수학체험 유랑단] 어디에도 없는 정다면체 향초를 찾아서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전국에서 수학 체험 수업으로 소문난 선생님을 찾아가 소개하는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이번엔 경북 영주로 달려가서 장영희 동산여자중학교 선생님의 정 ... 뫼비우스 띠의 오일러 지표도 0이지요. 이렇게 모양이 바뀌어도 절대 변하지 않는 고유한 값을 연구하는 분야가 위상수학이에요 ... ...
- 울퉁불퉁 지문에겐 다 계획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지문은 사람을 비롯한 영장류와 코알라 등 일부 동물만 갖고 있습니다. 지문의 역할에 대해 그간 마찰력을 조절하거나 수분 조절에 도움을 준다는 등의 많은 논의가 있어 왔지요. 지문은 과연 왜 있는 걸까요? 손끝의 배수로가 되어주는 지문' 2021년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박건식 교수팀은 지문 ... ...
- [누리호] 누리호 발사, 3일간의 현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판단하는데, 이 신호가 감지되지 않았습니다. 천문연은 발사 직후부터 다솔의 고유 주파수를 세계 연구자 네트워크에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함께 찾아보자는 것이었습니다. 전 세계 지상국 300여 곳에서 교신을 시도했지만 다솔의 신호는 잡히지 않았습니다. 사실 도요샛 개발에 관여한 모든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2033년의 한 주방입니다. 푸드 프린팅은 3D 프린터로 음식을 인쇄하는 기술입니다. 식품 고유의 식감과 맛을 재현하는 것은 물론, 더 풍부한 영양소를 담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10년이 지나면 정말 우리집 주방에 가스레인지나 오븐 대신 3D 프린터가 자리잡고 있을까요? 4월 24일, 이화여대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감성을 활용해 기사를 쓰고, 독자와 보다 강한 인간적 연결을 형성하는 일은 인간 기자 고유의 역할이라고 꼽았습니다. 인간이기 때문에 인간과 더 잘 통할 수 있다는 거죠. 하지만 기사 쓰기에 있어서, 감정을 공유할 수 있다는 능력을 장점으로만 보기는 어렵습니다. 2022년 서강대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설령 발명자조차 쓰지 않아도. 개발 현장에서 사용하는 언어도 다양하다. 언어의 고유한 기능과 특성에 따라 적합한 분야가 달라서다. 또 프로그래밍 언어는 배포된 이후에도 개발자들의 요구에 맞춰 끊임없이 버전 업데이트를 해 고정적이지 않다. 발전한 기술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