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착"(으)로 총 7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순간포착 세렝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519
- 메모리카드와 배터리를 갈아 준답니다. 그리곤 메모리카드 속 세렝게티 사진들을 순간포착 세렝게티 웹사이트(www.snapshotserengeti.org)로 옮기죠.그러면 전세계 사람들은 이곳에 올라온 사진을보고 어떤 동물이 무슨 행동을 하고 있는지 분류한답니다. 그동안 시민들이 분류한 데이터는 동물 수에서는 9 ... ...
- 천적 불가사리 잡아먹는 나팔고둥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517
- 앞바다에서 빨강불가사리를 잡아먹는 나팔고둥의 모습이 영상으로 포착됐어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전남 신안군에 있는 섬인 홍도 주변 바다의 생태를 조사하던 중에 발견한 장면이에요. 길이 19cm, 폭 8cm 정도 되는 나팔고둥은 처음 잡으려고 했던 불가사리가 도망치자, 바로 옆에 있던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16
- 최근까지도 명왕성에서 지질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났을 것이라고 예측했답니다. 3 포착! 명왕성의 위성들명왕성 주변에는 카론, 닉스, 히드라, 케르베로스, 스틱스라는 5개의 위성이 돌고 있어요. 뉴호라이즌호는 이 중 가장 큰 위성인 카론의 표면을 촬영했어요. 카론의 사진에서 눈에 띄는 지형은 1 ... ...
- 나는 드론 위에 막는 안티드론 기술과학동아 l201512
-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어떤 곳에 드론만 낼 수 있는 ‘웅웅’거리는 저주파 소음이 포착되면, 각각의 드론트래커가 서버와 접속해 이것이 있는 위치와 기종 등을 알아내고, 새롭게 알아낸 정보를 다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침입한 드론을 찾아낸 뒤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난 10월 15일 미국 ... ...
- 26년간 잠자던 블랙홀 활동 개시!과학동아 l201512
- 6년간 잠들어있던 블랙홀이 깨어나 활동을 재개한 모습이 포착됐다. 유럽우주국(ESA)은 지난 6월 15일 블랙홀로 추정되는 ‘백조자리 V404’가 X선과 감마선 등 기존보다 200배 많은 빛을 방출했다고 발표했다. 백조자리 V404가 이렇게 많은 빛을 쏟아낸 건 1989년 이후 처음이다.지구에서 7800광년 떨어진 ...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12
- 사마귀, 거미를 찍는 것을 좋아해요. 모두 움직임이 느릿하고 고요해서 카메라로 행동을 포착하기 쉽거든요. 마지막으로 접사 사진을 예쁘게 찍는 비결을 친구들에게만 알려 줄게요. 분무기로 공중에 물을 뿌린 후에 재빨리 사진을 찍는 거예요. 그러면 물방울이 빛을 반사하면서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11
- 추진하는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를 포착해 걸러내고 PCR 분석을 하지 않고도 종류를 알아낼 수 있는 랩온어 칩을 개발하고 있다. 심장, 간, 폐를 작은 칩 위에여기서 끝이 아니다. 랩 온어 칩 기술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 ‘올갠(organ) 온어 칩’이 개발에 속도를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11
- 울려야 하지요.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일본은 진원지에서 가장 가까운 지진계에 지진이 포착된 순간부터 5초 안에 방송을 통해 사람들에게 대피 경보를 울릴 수 있을 정도로 지진 경보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요. 10초면 건물 밖으로 뛰어나갈 수 있으니, 단 몇 초 단위로 생명이 오갈 수 있는 것이지요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10
- 미세하게라도 미소를 지을 때 나타나는 전기적인 반응을 측정했다. 생리적인 반응을 포착해 ‘가식’으로 속일 수 없는 ‘본심’을 확인하려는 것이다.실험 결과는 다카하시 교수팀의 결과와 일맥상통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자기가 부러움을 느끼는 대상이 ‘내기에서 5달러를 땄다’는 긍정적인 ... ...
- 가상현실에서 사격을과학동아 l201510
- 정교하게 잡아내야 실전에서 생존율을 높여줄 수 있다. 현재 기술로 미세한 움직임을 포착하기 위해선 다양한 하드웨어를 여러 대 사용해야 한다. 가상현실 군사훈련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선 자세인식을 위해 깊이영상 카메라 6대를 동시에 사용한다. 병사가 몸을 화면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