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710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05
빙하 깨지는 소리로 해수면 변화 예측한다극지에서는 빙하와 빙산이 내는 소리가 자주
포착
된다. 독일 브레맨대 해양환경과학센터 미카엘 슐츠 교수는 2008년 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한 ‘빙하 소리 듣기(Listening to glaciers)’라는 기고문(doi:10.1038/ngeo235)에서 “수중음향을 관측하면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
과학동아
l
201605
토양을 ‘오염’시키는 유해물질”이라고 말했다.미국항공우주국(NASA) 인공위성이
포착
한 전세계 대기 중 이산화질소(NO2) 오염 정도.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붉은색).한국은 세계 7위 질소화합물 배출 기여국호주 시드니대 물리학부 맨프레드 렌젠 교수팀은 ... ...
[Tech & Fun] 돌먼지
과학동아
l
201604
그가 상관할 바는 아니었지만 보이는 데에야 어쩔 수 없었다. 그는 이런 정보를 재빨리
포착
하는 교육을 받은 적이 있었다. 온 힘을 다해 익힌 지식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온 마음을 무너뜨리는 좌절과 마찬가지로.코쇠는 너무 외진 항성계였다. 항성계 전체에 유인행성이 두 개뿐인 것도 좋지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03
겸해서 본격적인 관측을 시작하던 무렵이었단 뜻이다. 한국시간으로 오후 6시 51분에
포착
된 블랙홀 두 개의 이중주. 아인슈타인이 지휘하고 리빙스턴과 핸퍼드에 위치한 어드밴스드 라이고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중력파 천문학의 시대를 알리는 서곡이 연주되기 시작했다. 글 서두에서 언급한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03
지구로부터 13억 광년 떨어진 우주에서 두 개의 블랙홀이 충돌하는 동안 발생한 중력파를
포착
한 것이었다. 두 개의 블랙홀이 충돌해서 하나의 블랙홀을 만드는 현상 역시 이론적으로만 예측해 왔는데, 이번에 처음 실제로 관측했다. 연구팀은 두 블랙홀이 충돌하면서 태양 질량의 약 3배 정도에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
수학동아
l
201603
흔적이라는 안타까운 결론이 나왔지요. 그러나 이번에는 중력파를 사진으로 찍듯 직접
포착
했기 때문에, 중력파가 아닐 확률은 약 500만 분의 1로 아주 낮답니다.가브리엘라 곤잘레스 루이지애나주립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이 발견으로 ‘중력파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시작할 수 있게 ... ...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
수학동아
l
201601
숫자가 나오지 않는다. 탱그램팩토리의 스마트로프와 스마트짐은 확실한 움직임을
포착
해 정확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팽그램팩토리는 줄넘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동기구를 제작해 스마트짐 어플리케이션 하나에 모든 운동기록을 전부 기록하고 분석하는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다. 앞으로 운동이 ... ...
[News & Issue]초신성의 새로운 폭발 원리
과학동아
l
201601
지구로부터 8000만 광년 떨어진 은하에서 제1a형 초신성(SN2015F)의 폭발 장면을
포착
했다. 섬광의 밝기를 분석한 결과 폭발한 백색왜성의 동반성이 태양보다 수백 배 큰 적색거성이 아니라 태양 크기와 비슷한 보통 별임이 밝혀졌다. 임 교수는 “초신성을 이용하는 우주 팽창 연구 발전에 도움이 될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01
그런데 만약 반복되는 충돌에서 계속 일정한 에너지 손실이 나타난다면? 이는 검출기가
포착
할 수 없는 입자가 생성됐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흑물질일 수 있는 것이다.LHC의 검출기 중 하나인 시엠에스(CMS)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한국 연구팀 대표인 최수용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 ...
세상을 바꾼 과학, 과학을 빛낸 노벨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1
가지타 교수는 대기 중의 중성미자가 물분자에 충돌했을 때 생기는 아주 약한 빛을
포착
해 중성미자의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지요. 또 맥도널드 교수는 중성미자가 지구로 오면서 종류가 바뀐다는 사실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상을 받았답니다.노벨 화학상 스스로 고치는 DNA!올해 노벨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