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토대
동원
징발
tundra
d라이브러리
"
툰드라
"(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벳
과학동아
l
199204
낮은(-5.8℃)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한마디로 전형적인
툰드라
기후를 보이는 동토였다(
툰드라
기후지역이란 최난월평균기온이 10℃ 이하인 곳을 말한다. 한지유목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인간의 계절 활동만이 가능한 지역이다). 기온의 연교차는 22.8℃, 연평균강수량은 2백70.2㎜인 데 쿤룬산맥의 ... ...
대고원이 지구를 냉각시킨다
과학동아
l
199106
지역에 분포 했다. 뚜렷한 계절이 없었으며 건기도 없었다. 북방 지역에서 침엽수림과
툰드라
지대를 보는 것은 어렵지 않았다. 현재 북극해를 떠도는 해빙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오늘날 그린랜드를 뒤덮고 있는 빙상은 찾아볼 수 없었다.과거 4천만년 동안, 특히 지금부터 1천5백만년 사이에 ... ...
여우
과학동아
l
199007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랜드북부 쿠릴열도 등 대개 북위 55도 부근에서 서식하는데 일부는
툰드라
지대의 숲에서도 산다. 여름에는 해안 근처에서 살지만 겨울에는 해안으로부터 32km나 떨어진 곳이 생활의 터전.체격은 작은 편으로 몸길이가 45~67cm, 꼬리 25~42cm 정도다. 몸무게도 2.5~9kg 밖에 안된다.4월에 ... ...
매머드
과학동아
l
199005
홍적세, 즉 빙하시대(약2백50만년전~1만년 전)에 유럽 북아시아 북아메리카의 동토
툰드라
초원지대에서 동물의 왕자로 군림했으나 약 1만년전에 멸종됐다.매머드는 코끼리와 비교하면 몸이 작은 편. 엄니가 아래로 돌출하다가 위로 아름답고 길게 휘어진 상아를 가지고 있고, 표피 아래에는 ... ...
상승하고 있는 지구온도 새 빙하기는 언제 오는가?
과학동아
l
199003
유럽과 북미 대부분을 뒤덮었고 바닷물을 얼려 수면을 1백m이상 떨어뜨렸다. 건조한
툰드라
대가 빙하의 남단에 형성됐고 여름은 짧고 추웠다. 남반구의 경우 오세아니아주와 아르헨티나의 일부가 얼음에 덮였다.소(小)빙하기이러한 장기적 기후변동 위에 보다 작은 규모의 변화가 덧붙여진다. ... ...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8903
보았다.또 위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기온은 더욱 올라갈 것이기 때문에 북극지방의
툰드라
(동토지대)와 철새에게 심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북반구에서는 삼림과 다른 생태계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분포범위의 남단에 있는 일부 종은 멸종할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다. 물론 일부 ... ...
석유·천연가스 등 자원과 군사적필요에 의한 새로운 관심 북극
과학동아
l
198902
능온선'이 되고 있다. 이 '10℃등온선'은 대체로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목북한선 또는
툰드라
경계선과 같은 자연경계선과 일치하고 있으며 위도상으로 유라시아대륙쪽에서는 북극권 내부에, 그린랜드·캐나다 동북부 및 베링해협쪽에서는 북극권보다 훨씬 남쪽인 위도 55˚선까지 남하하고 있다. ... ...
북아메리카의 최고봉 매킨리 산 산악인을 매혹시키는 야성미
과학동아
l
198901
이 경계지역을
툰드라
지역이라고 부르는데
툰드라
에는 회색곰이 많이 살고 있다 한다.
툰드라
아래지역에는 사슴 여우 담비 삵괭이가 주로 산다. 또 그 아래 비교적 환경이 좋은 하천지역에는 밍크나 비버 이리같은 동물들이 많이 살고 있다. 새종류로는 갈매기 독수리 뇌조 등이 서식한다.고려대 ... ...
스칸디나비아 반도 최북단 랲 랜드
과학동아
l
198811
백야나 오로라와 함께 앞으로 몇백년이 더 지나도 그대로 일것이라고 생각되는 황량한
툰드라
가 안겨주는 묘한 안정감이 있다. 그리고 알프스나 히말라야 처럼 극히 환정된 사람들만의 것이 아니고 산 꼭대기로 부터의 대 파노라마를 간단한 장비만으로도 만끽할 수 있어서 좋다.그렇지만 랲랜드는 ... ...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03
측정했다. 이제 해의 변덕스러움을 벗어나 보다 보편적인 시계가 태어났다. 물은 적도나
툰드라
, 겨울이나 여름, 밤이나 낮을 가리지 않고 똑같이 흐르게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18세기 초 추시계의 정교함이 등장하기 까지 수세기 동안 어둠의 시간을 재는데서 출발했던 물시계는 낮과 밤에 걸쳐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