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토대
동원
징발
tundra
d라이브러리
"
툰드라
"(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돌이 흘러 강이 된 만어산 종석너덜
과학동아
l
200605
10만년 전부터 1만8000년 전 한반도는 고산지대를 제외하고는 지금의 시베리아나 알래스카
툰드라
기후 같은 주(周)빙하기후에 속해 있었다.아열대 기후에서 만들어진 핵석과 푸석바위는 빙하기를 지나 기온이 높아지면서 서서히 아래로 움직였다. 얼었던 지표층이 밀가루 반죽처럼 유연한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09
초원 북극권에서는 어느 정도까지는 침엽수 등이 소생하지만 그것을 넘어서면 높은 산도
툰드라
가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높은 산도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나무가 없는 고산 초원이 펼쳐진다 우리나라의 백두산은 1천m정도를 수목한계로 가진다가솔린이 연소할 때 이상(異常)폭발(이를 노킹이라고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01
초원 북극권에서는 어느 정도까지는 침엽수 등이 소생하지만 그것을 넘어서면 높은 산도
툰드라
가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높은 산도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나무가 없는 고산 초원이 펼쳐진다 우리나라의 백두산은 1천m정도를 수목한계로 가진다가솔린이 연소할 때 이상(異常)폭발(이를 노킹이라고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01
가장 사랑 받는 고니는 을숙도와 낙동강 하구가 우리나라 최대 월동지다. 러시아 북부
툰드라
지대와 시베리아로부터 날아와 10월부터 3월까지 새끼를 키우며 월동하다 떠난다. 고니는 가족의 유대관계가 강하고 짝을 바꾸지 않는 부부애를 가지고 있다. 많을 적에는 3천마리가 넘는 고니가 을숙도를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09
周)빙하기후’라고 한다. 현재 러시아의 시베리아와 미국의 알래스카 등지에서 나타나는
툰드라
지역이 주빙하기후에 해당된다. 이곳은 대체로 연중 9개월 이상은 기온이 영하, 3개월 이하는 영상이다.0℃ 오르내리던 기후 때 형성돌강은 마지막 빙하기 동안의 주빙하기후 환경에서 만들어졌다.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03
초원 북극권에서는 어느 정도까지는 침엽수 등이 소생하지만 그것을 넘어서면 높은 산도
툰드라
가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높은 산도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나무가 없는 고산 초원이 펼쳐진다 우리나라의 백두산은 1천m정도를 수목한계로 가진다가솔린이 연소할 때 이상(異常)폭발(이를 노킹이라고 ... ...
러시아 툰트라
과학동아
l
200010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의 효과를 직접 보니 감회가 새로웠다. 현재 시베리아의
툰드라
지역의 동토층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녹아 내리고 있다. 이곳도 마찬가지로 동토층이 녹아 연안이 침식되고 있는 것이다. 동토층에는 많은 양의 유기물, 메탄이 함유돼 있어서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06
번식하기 힘들어 뼈는 물론이고 근육과 같은 연한 부분이 잘 보존된다. 시베리아
툰드라
지대의 얼음 속에서 발견된 매머드는 상하지 않고 그대로 보존돼, 발굴단을 따라간 개들에게 살점을 던져주었더니 먹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발견 당시 그 매머드는 뼈의 일부분이 부러져 있었고 피가 나 ... ...
발자국으로 공룡 움직임 재현
과학동아
l
199906
미국 브라운대학 과학자들은 그린랜드 해변의
툰드라
지대에서 발견된 공룡의 발자국을 기초로 새가 공룡으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진흙 속에서 발견된 수각룡의 발자국 화석들은 사람만한 수각룡이 뒷다리로 성큼성큼 진흙평원을 가로지르며 만들어놓은 것으로 분석됐다. 공룡이 ... ...
땅 위에 살게 된 최초의 식물 이끼 기르기
과학동아
l
199706
남극점으로부터 4백80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이끼류가 발견된다. 북극권의
툰드라
에 서식하는 이끼는 무릎 높이까지 자라 드넓게 지표를 덮으며, 겨울철에는 순록의 주요한 먹이가 되고 있다. 그래서 북극의 이끼를 '순록이끼'라고 부른다.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이끼는 약2만3천여종. 이들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