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세대"(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12
- 개발도상국까지 참여하는 신기후체제를 올해까지 만들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정태용 연세대 국제학대학원 교수는 “교토의정서와 달리, 전 세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의 45%를 배출하는 미국과 중국이 참여하고, 155개 나라가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안을 만들어 참여한다는 점에서 COP21에 거는 ...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수학동아 l201512
- 얏호~! 드디어 최근에 나온 스마트폰을 내 손에 넣었다. 전원을 켜고 휙휙 화면도 넘기고 카메라도 찍어보고 사진도 구경하고…. 잠깐,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화면을 살짝 누 ... and Ergonomics’, 크리스토퍼 위켄스의 'Engineering Psychology and Human Performance’, 조광수(연세대 정보대학원 교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10
- 마지막날인 20일에는 포스터 발표도 했다.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 이화여대, 포스텍, 연세대 소속 7명의 학생들이 최용상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의 인솔 아래 참여했다. 학생들은 WSCI 참가 지원서를 작성하고 영어 면접에 통과해 한국대표단에 선정됐다.“노벨상 수상자들은 공통적으로 깊고 ... ...
- [과학뉴스] 연세대 ‘창조과학’ 강의 개설 논란과학동아 l201509
- 교수가 2학기 과목으로 ‘창조과학 세미나’를 개설하면서 시작됐다. 최 교수는 연세대 홈페이지에 올린 수업 계획서에서 “기독교인 과학자는 성경 내용과 과학 지식 사이의 갈등을 느껴본 경험이 있다. 성경 중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보고 이것을 과학적 접근으로 이해하고자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08
- 기체성분별 농도를 파악한다.각도를 바꿔가며 높이별로도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김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는 “판도라는 작동원리와 성능이 환경위성과 비슷해 ‘땅 위의 위성’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장비 주위뿐 아니라 대기 전체의 질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실제 위성과 역할이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07
- 더욱 몰려 가뭄이나 산불, 홍수 등의 기상이변이 심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안순일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는 “수온이 상승하면 대기 중으로 증발되는 수증기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며 “지구 온난화로 수온이 약간만 올라도 강력한 엘니뇨 현상이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차이 ...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과학동아 l201506
- 있는 전도성 섬유로 수화를 인식할 수 있는 스마트 장갑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태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최대 3.2배까지 늘어나면서 변형된 정도를 인식해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섬유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4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04
- 이런 연구에도 불구하고, 세디바의 위상은 조금씩 떨어져갔다. 체질인류학자인 우은진 연세대 치대 BK연구교수는 “세디바는 호모 속의 조상이 되기에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었다”며 “연대가 190만 년 전으로, 호모 속의 조상이 되기에는 지나치게 늦었다”고 말했다.최초의 호모 속으로 꼽히는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03
- 숨어서 몰래 휴대전화 문자를 보냈던 기자에겐 ‘문화충격’이었다(이런 현상은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서강대, 서울과기대 등 다른 공대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여러 취재원을 통해 확인했다. 한 교수는 학생들이 필기할 때 잠깐 쉬던 쉬는 시간이 사라져서 아쉬워하기도 했다)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과학동아 l201503
- 맞아요. 제 전공인 유방암에서만큼은 환자들이 고생하는 일을 줄이고 싶었어요.”백순명 연세대 의대 석좌교수에겐 아픈 사연이 있다. 어머니가 병과 싸우는 모습을 지켜보며 아픔을 삼킨 그는 지금 세계 최고의 유방암 유전자 연구자가 됐다. 2004년 유방암 예측검사인 ‘온코타입디엑스(oncotypeDX,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