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598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
과학동아
l
201610
또 돈을 들여 의안을 만드는 방법도 있지만 위조를 방지하는 기술 역시 발전했다. 김재희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기술은 홍채인식을 할 때 양쪽 눈에 각각 다른 파장의 근적외선을 쏴, 홍채에 반사되는 빛의 밝기가 서로 다른지를 확인한다. 살아있는 사람의 실제 눈에서만 각각 ... ...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
과학동아
l
201608
세포체에서 합성된다고 알려졌다. 그런데 이를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정호성
연세대
의대 교수팀은 영국 케임브리지대 크리스틴 홀트 교수팀과 함께 축삭이 자체적으로 말단에 저장된 RNA를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축삭 말단에서 번역되는 RNA만을 표지 및 ... ...
Part 2. 남극, 가장 뜨거운 바다에서 얼음 대륙이 꽃피다
과학동아
l
201608
빙하의 출현 시기와 양을 알아내는 연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박숭현(shpark314@kopri.re.kr)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대학원에서 중앙해령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 지구및행성과학과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현재는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07
아마도 뼛속부터 한국인인 기자의 검사 결과는 역시 뻔했을 것이다. 2005년 신경진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국인 592명의 하플로그룹을 확인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가장 흔한 그룹은 D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
과학동아
l
201607
별이 활발하게 태어나는 현상이 관측된다.이 딜레마를 어떻게 풀어야 할까.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별 탄생과 AGN 모두 기체를 ‘식량’으로 하는 활동”이라며 “은하가 생성된 초기에 별이 폭발적으로 만들어지다가 어느 순간 AGN이 켜졌을 수 있다”고 말했다. 거대질량 블랙홀이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07
기체 구름이 뿜어져 나오는데, 여기에서 나오는 폭이 좁은 방출선만 관측된다.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서로 다르게 보이는 AGN을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기하학적인 해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아름다운 모델”이라고 말했다.하지만 비판도 있다. 이 교수는 “타입1을 가진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
과학동아
l
201606
이외에 어떤 일이 있나요?권영상 도시 재생에 관련된 일이 많아요. 청계천의 세운상가나
연세대
앞의 ‘차 없는 거리’도 일종의 도시 재생이에요. 이런 것을 설계하고 구상하는 것도 도시설계에서 하는 일입니다.권영준 건설환경공학부에서는 도시설계 이외에 어떤 다른 분야를 연구하나요?권영상 ... ...
Part 2. 기자가 도전해 본 디지털 생물학
과학동아
l
201605
단백질의 구조까지, 신경 써야 할 것이 많다. 이 설계를 컴퓨터가 알아서 해준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첼로는 정확한 생체회로를 설계하고, 이에 사용되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것”이라고 평했다.나아가 생물학을 잘 모르는 사람도 첼로를 이용하면 유전자를 쉽게 설계할 수 있다.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
과학동아
l
201605
수 있는 염기쌍 수가 여전히 1차 함수 형태로만 늘고 있다.문제는 정확성이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현재 화학적 합성으로는 염기 100개 마다 1개 꼴로 오류가 발생한다”며 “수백 개 이상의 염기로 원하는 유전자를 한번에 합성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수십 개의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05
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항상 일정한 방식대로 초파리 밥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문석준
연세대
치대 교수는 “연구실마다 레시피가 조금씩 다른데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레시피를 통일하자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고 말했다. 한두 번 해보면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는 작업이기 때문에 연구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