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로"(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04
- 개 등 석고상은 당시의 처참했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 줬답니다.수로로 건설된 도시, 수로 때문에 발견되다이렇게 두터운 화산재에 뒤덮인 폼페이는 1549년 폼페이를 가로지르는 운하를 만들던 중 우연히 발견됐어요. 거대한 토목 공사인 덕분에 땅을 파야 했거든요. 하지만 당시에는 발굴하지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04
- 내려간 자리는 지층이 얇아져 다시 지하수로 돌아가는 물의 양을 줄이게 된다. 새로 지하수로 유입되는 물은 줄어드는데 농촌의 지하수 사용량은 제대로 관리조차 되지 않는다. 덕분에 지하수의 최종 종착역인 하천은 메마르고 있다.지금도 앞이 깜깜한데 앞으로 한반도는 더 큰 위기에 빠질 ... ...
- [수학뉴스] 막대 사탕, 2500번을 핥아야 다 먹는다!수학동아 l201503
- 과정을 관찰한 결과를 ‘유체역학 저널’ 2월호에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막대 사탕을 수로에 넣고 사탕 위쪽으로 물을 흘려보냈습니다. 이때 사탕의 모양과 크기, 물의 속도를 바꿔가며 실험했습니다. 그 결과 처음 모양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사탕은 녹아서 언제나 일정한 모양이 된다는 것을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01
- 이제 감이 잡히시나요? 바로 지수함수가 필요해진 겁니다! 파동을 곱셈이 편한 지수함수로 나타내면, 구하기가 훨씬 편해지죠.지수함수는 미분하고 적분하기도 편합니다. 이는 양자역학에 어마어마한 도움이 됩니다. 양자역학의 기본이 되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볼까요? 모두 설명하긴 너무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01
- 무작정 뜨개질을 시작했다가 원하는 물체가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뜨개질을 함수로 나타내 3D 컴퓨터 모델로 만들면, 어떤 경로로 바늘이 움직여야 뜨개질이 되는지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일종의 바늘 지도다. 이 모델을 보면서 뜨개질을 하면,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복잡한 입체 구조를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12
- 횟수가 똑같다고 가정했다. 20원짜리 물건의 거래나 700원짜리 물건의 거래나 똑같은 횟수로 일어난다고 본 것이다.동전을 어떻게 조합해야 할까?배쳇 문제에 따르면 1, 2, 4, 8로 이어지는 2의 제곱수 체계와 1, 3, 9로 이어지는 3의 제곱수 체계가 효율적이다. 3의 제곱수 1, 3, 9를 십진법 덧셈에 ... ...
-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수학동아 l201411
- 생각해야 한다.아마랄 교수는 이렇게 경기를 주도하는 역할을 ‘중앙성’을 이용해 수로 나타냈다. 중앙성이란 그래프 이론의 한 개념으로, 전체를 구성하는 개인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데 쓴다. 그림 ➊에서 흥민과 친하게 지내고 싶어 하는 영권은 성용을 통해 흥민을 소개받았다. 성용은 모든 ... ...
- [시사] 반 고흐 위대한 유산의 비밀수학동아 l201411
- 다음, 각 조각에 0부터 255바이트까지 고유한 숫자 정보를 부여한다. 그림을 잘게 나눠 수로 나타낸다는 뜻이다. 그런 다음 이것을 웨이블릿 변환 수학모델로 분석한다. 이렇게 하면 고흐만의 고유한 붓질의 성질을 수학적으로 알아내 훼손된 그림을 복원하거나, 모사품을 구별할 수 있다.물론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11
- A²=1, B²=C²=D²=-1과 AB+BA=AC+CA=AD+DA=BC+CB=BD+DB=CD+DC=0을 만족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보통 수로는 해가 불가능한 이 방정식들이 이제는 A=c(E0), B=c(E1), C=c(E2), D=c(E3)라는 클리퍼드 수들을 통해서 쉽게 풀린다. 이런 수의 직관적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당연히 어렵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10
- 결국 수가 아니냐고 항의할 수도 있지만, 사실 면적은 그 자체로 정의가 잘 된 개념이고 수로 해석하는 데는 또 다른 단위가 필요하다. 이 말의 뜻을 이해하려면, 면적 두 개의 크기를 비교해 보라(그림❺). 어느 쪽이 큰지를 정하는 데 사실은 단위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한 가지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