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로"(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서 밖으로 나온 수학, 세상을 바꾼다!수학동아 l201512
- 분석’의 핵심은 데이터의 ‘모양’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이전에는 데이터를 대부분 수로 보고 분석했다면, 위상적 데이터 분석에서는 데이터를 점과 선으로 이뤄진 네트워크 형태로 보고 모양을 분석한다. 일반적인 데이터 분석보다 얼마나 더 효과적일까?“기존의 데이터 분석은 보통 대수학을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SW in Science ➒ 선수 추적프로그램] 축구 경기장 뒤의 12번째 선수과학동아 l201511
- 선수들이 뛰어 오르고 드러누우며 몸의 형태를 수없이 바꾸는데, 소프트웨어는 무슨 수로 각각의 선수를 구분하는 걸까.소프트웨어는 일단 카메라에 찍힌 영상에서 선수들만 떼어낸다. 관중과 경기장 바닥, 라인 등 배경은 계산에서 배제한다. 구분 기준은 색이다. 명암, 색조, 채도가 계산에 쓰인다.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10
- 보기 위해 모여든 사람들로 북적이기 시작했다.굼뜬 괴수에서 재빠른 경보선수로1947년, 미국 예일대 피보디박물관은 화가 루돌프 잘링거가 5년에 걸쳐 완성한 벽화를 공개했다. 길이가 34m인 ‘파충류의 시대(Age of Reptiles)’라는 제목의 이 벽화는 지질시대를 따라 생물과 환경이 어떤 모습으로 ...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10
- 전화도, 편지도, 인터넷도 안 된다. 유일한 교신통로인 탐사선이 떠난 마당에 무슨 수로 자신이 살아남았다는 사실을 지구로 전할 것인가?스페이스X, 화성까지 인터넷 연결할까스페이스X의 CEO인 엘론 머스크가 영화 속 주인공을 의식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는 지난 6월 9일 워싱턴포스트와의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09
- 접하고 있다”고 발표했다.그러나 발표 자료를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학습량을 모두 항목 수로 비교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가 빨리 배우는 항목 수와 우리나라에만 있는 항목 수를 더하고, 여기서 우리나라가 늦게 배우는 항목 수와 비교 대상 국가에만 있는 항목 수를 뺀 값이 ... ...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과학동아 l201507
- 많아 정확히 어떤 공부를 하는지 감이 안 올 거예요. 건설환경공학부는 도로나 다리, 수로처럼 우리 생활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학부입니다. 건물을 짓는 것과는 조금 다르죠. 예를 들어 도로 공사를 한다고 해볼게요. 우리나라 도로가 총 10만km예요. 수리가 필요한 곳이 한 두 군데가 ... ...
- 닥터 그랜마도 깜짝 놀란 사물인터넷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05
- G는 4세대 통신을 의미한다.*bps : ‘Bits Per Second’의 약어. 1초간 보내고 받을 수 있는 비트 수로, 데이터 전송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단위다.*주파수대역 : 전파를 이용해 통신을 할 때 그전파에 할당된 주파수의 범위.더 많은 사물에 주소를 붙이려면?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사물 고유의 ... ...
- [참여] 서초 수학박물관 수학은 어디에서 최초로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1505
- 독자기자는 “기원전 500년경 고대 그리스 사모스 섬 사람들이 피타고라스 법칙으로 수로를 만든 것을 보고 놀랐다”며 “수천년 전 사람들이 지금의 나보다 수학을 더 많이 알고 활용하고 있다는 생각에 존경스러웠다”고 생각을 말했다.황혜린 관장은 “해외에는 이미 수학박물관이 여러 곳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05
- 끓는점이 0℃로, 어는점이 100℃였다. 이 방식에선 어는점보다 차가운 온도는 100보다 큰 수로 표시돼, 음수가 필요 없게 된다. 오늘날 영하 10℃는 셀시우스에게는 110℃였다. 산꼭대기처럼 높은 곳에서 밥을 지으면 설익는다. 기압과 함께 물의 끓는점도 낮아져,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쌀이 익으니 ... ...
- [지식] 네 번째 요리 누구보다 빠르게 남들과는 다르게, 로그와 햄버거수학동아 l201504
- 씌우면 3이 나옵니다. 로그는 이처럼 1이 아닌 양수를 다른 1이 아닌 양수의 거듭제곱수로 나타내는 표기법입니다. 특별히 밑이 10인 로그를 상용로그, 밑이 e인 로그는 자연로그라고 부릅니다. 보통 ‘로그를 씌운다’는 표현을 하는데, 그건 위에서처럼 어떤 수의 로그값을 구한다는 뜻입니다.로그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