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바이벌게임
servival game
서바이벌
서바이버게임
써바이벌게임
d라이브러리
"
생존게임
"(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웃음의 프리즘
과학동아
l
200603
개그맨은 시청자에게 웃음을 선사하기 위해 다양한 작전을 구사한다. 어른이 젖병을 빠는 어린이처럼 행동하거나 상식 밖의 잘난 체를 하기도 한다. 때로는 독특한 유행어를 만들어내기 위해 애를 쓴다. 1970년대 코미디 프로그램은 온 국민의 사랑을 받았으며 시청률이 30%대를 웃돌았다. 지금도 주 ... ...
2 침팬지도 문장 만들 줄 안다
과학동아
l
200312
“우후우후우후후∼” 제인 구달 박사는 강연을 시작할 때 언제나 청중들에게 이렇게 ‘팬트 후트’(pant hoot)로 첫인사를 한다. 팬트 후트는 침팬지들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서로의 존재를 알리는 소리로서 침팬지마다 음색과 강약이 제각각이다. 작년에 일본 교토대 영장류 연구소를 방문했을 때 ... ...
4 인간 감성 충족시키는 생각하는 기계
과학동아
l
200310
인공적인 지능을 갖는 기계가 사람이 해야 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알아서 해결해주고 인간수준의 감성을 보유한다면 얼마나 편리할까. 이 정도의 능력은 아니더라도 이미 지능적으로 밥을 지어주는 인공지능 밥솥이나, 빨래의 양이나 더러워진 정도를 스스로 알아내 효과적으로 빨아주는 퍼지 세탁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09
피카소는 79세 되던 한해 동안에만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식사’라는 작품을 1백40번이나 모사했다. 당시는 피카소가 대화가로서 명예와 부를 동시에 거머쥐고 부러울 것 없이 지내던 시기였다. 그런 대가가 노령에 왜 남의 작품을 1백40번이나 베껴 그렸을까. 그는 자신의 새 작품들을 위해 모네의 ... ...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자화상
과학동아
l
200304
먼 훗날 우리의 삶은 어떻게 변해 있을까? 하늘을 나는 자동차, 달에 건설된 호텔, 집안 일을 도맡는 로봇…. 미래라는 질문에 흔히 이런 것들을 상상하기 십상이다. 하지만 영화를 통해 그려지는 미래는 ‘밝고 희망찬’ 모습보다는 ‘어둡고 절망적인’ 모습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핵전쟁 이 ... ...
5명만 거치면 지구는 한가족
과학동아
l
200301
처음 만난 사람과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몰라 서먹서먹할 때 흔히 하는 말이 있다. “어느 학교 나왔어요? 고향이 어디입니까? … 예, 그럼 누구 아시나요? … 저도 그 사람을 잘 알지요. 세상 참 좁네요.”내 친구의 친구가 나의 친구가 되는 경우를 확인하게 되면서 세상이 매우 좁다는 것을 느낀다. ... ...
배우자로는 날 닮은 사람이 최고
과학동아
l
200209
잘생긴 외모로 그리스 전역에 소문이 난 나르키소스는 숱한 요정과 님프들의 애간장을 태웠다. 님프 에코 역시 나르키소스에게 빠졌다. 그러나 에코는 제우스의 애정행각을 도운 죄로 여신 헤라에게 벌을 받아 하는 말마다 마지막 음절만을 반복할 수밖에 없었다. 에코의 사랑 고백을 나르키소스가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07
지난 2001년 1월, 영국의 과학잡지 ‘뉴사이언티스트’에는 ‘패션 디자이너여 조심하라!’는 다소 도발적인 문구로 시작하는 기사가 실렸다. 자연계의 ‘선택 교배’(selective breeding)를 흉내내 최상의 디자인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됐다는 것. 연구의 주인공은 국내 과학자인 연세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06
최근 탄탄한 SF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 일본의 애니메이션‘공각 기동대’가 국내에 개봉됐다. 공각기동대는 이후 등장한 수많은 사이버펑크 영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그 중 한 작품인 영화‘매트릭스’와 공각기동대의 면면을 살펴보자. 얼마 전 일본의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가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02
얼마 전까지만 해도 네티즌하면 가장 신세대고, 첨단을 달리는 젊은이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이제는 그들도 구세대가 되고 있다. 2001년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멀티즌 때문. 최첨단으로 무장한 멀티즌의 세계를 따라가보자.컴퓨터를 앞에 두고 말없이 키보드만 두드리던 ‘침묵의 시대’는 끝난 것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