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뉴스
"
초소형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가오리를 모방해 만든
초소형
‘가오리 로봇’이 장식했다. 실제 가오리 크기의 10분의 1(무게 10g, 몸통 너 ... 수 있다. 주파수가 같을 경우 앞으로 전진한다. - 사이언스 제공 [☞기사 바로가기]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 ... ...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
2016.07.08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팀이 가오리를 모방해 만든 ‘가오리 로봇’(왼손 오른쪽). 몸통 너비가 16㎜로 1센트짜리 동전(왼손 위)보다 작다. - 하버드대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제공 작은 가오리 한 마리가 푸른빛을 따라 웨이브를 그리며 유유히 물속을 누빈다. 금으로 만 ... ...
꿀꺽한 건전지 찾아주는 미니 종이접기 로봇
과학동아
l
2016.06.20
건전지를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로봇은 지난해 러스 교수가 개발한
초소형
종이접기 로봇의 후속작으로 체내에서의 움직임이 향상됐다. 러스 교수는 “헬스 케어 전반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호킹 박사는 4월 4.4광년 거리의 별 ‘알파 센타우리’에
초소형
우주선을 보내는 ‘스타샷 프로젝트’를 발표한 기자회견 자리 등 지금까지 대중강연이나 글을 통해 여러 차례 비슷한 내용을 언급해왔지만 이 같은 내용을 공식 논문으로 발표한 것은 이번이 ... ...
[부산모터쇼]“모터쇼에서만 볼 수 있다“…미래 보여주는 콘셉트카 5종
포커스뉴스
l
2016.06.04
슈퍼 캐퍼시터(Super Capacitor)의 150㎾(204ps)를 통해 총 650㎾(884ps)의 시스템 출력을 구현했다.
초소형
초경량 차세대 연료전지 스택과 탄소섬유(CFRP) 모노코크 차체 구조를 통해 총 중량 972㎏라는 차량 경량화도 실현했으며, 외관은 항공 테스트 조종사들의 도전정신을 차세대 고성능 콘셉트카로 ... ...
우표 만한 인공위성, 차세대 대세 될까
2016.06.03
절감뿐 아니라 기술 진보 차원에서도 이득이라 이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초소형
위성이 대세지만 기존 위성을 모두 대체할 순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능이나 성능에 한계가 따르기 때문이다. 용 연구원은 “위성의 목적과 목표 성능에 맞는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 ...
구석구석 신호 보내는 ‘스몰셀 기지국 SW’ 개발
2016.06.02
위해 외부 무선신호를 실내로 끌어들이는 장비는 있지만 독자적인 기지국 역할을 하는
초소형
장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 같은 ‘스몰셀’ 기지국은 대부분 외국산이라 필요한 경우 100% 수입에 의존해야 했다. ETRI 연구진은 도심이나 빌딩,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형셀 기능을 개발해 이 ... ...
美 정부 “2069년 ‘알파 센타우리’로 우주선 보내라”
2016.05.25
통해 개발 중인 레이저빔 직접 추진 시스템 ‘딥 인(DEEP IN)’을 활용해 웨이퍼 크기의
초소형
우주선을 추진하면 이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스타샷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억만장자 유리 밀너 역시 “초고속 우주선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태양풍과 레이저광에 잘 밀려나갈 ... ...
건물이 살짝 기울어졌네? 미세한 변화 감지하는 압력센서 개발
2016.05.24
박 교수는 “건축물의 구조 변화부터 생체 내부의 화학 반응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초소형
바이오센서까지 널리 응용될 수 있다”며 “최종적으로는 민감도를 더 높여 몸속 암세포의 유무까지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기 개발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의 ... ...
드론, 날다 지치면 잠시 쉬어가렴~
2016.05.20
된다. - 사이언스 제공 로버트 우드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은 클립 크기로 무게 80mg인
초소형
드론 ‘로보비(RoboBee)’가 공중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 20일자에 발표했다. 로보비는 몸 양쪽에 붙어 있는, 길이 3㎝인 날개를 초당 120회 치며 날아다닌다. 날갯짓에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