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뉴스
"
실마리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돈 벌고 싶다면 달을 구워 삶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3.06.29
상업화할 수 있는 다양한 우주 탐사 기술을 공유하면서 이 같은 의문에 대한 해답의
실마리
를 제공했다. ●채굴 장비, 3D프린터로 ‘뚝딱’ 3D프린팅 기술이 탑재된 로봇은 사람이 직접 달에 가지 않더라도, 달에서 얻은 재료들을 활용해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로봇이 달에 건물을 짓는 가상도. - ... ...
[채널A] 전세계 공포 떨게 한 ‘바이러스 3형제’…대유행 일으키나
채널A
l
2013.06.14
생긴 정돕니다. 사람에겐 치명적인 AI 바이러스가 오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데서
실마리
를 찾았습니다. [인터뷰: 김희발 /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 2개의 유전자 군이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방어기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향후 백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될 ... ...
김주성 KT미디어허브 사장 “국내 창작자들의 든든한 후원자 될것”
동아일보
l
2013.05.03
마인드가 턱없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콘텐츠 생태계 동반성장 펀드가
실마리
가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 펀드를 활용해 만든 창조적인 콘텐츠를 KT의 체계적인 운영 노하우로 갈무리한 다음 올레TV 등의 자체 플랫폼을 통해 세계적인 히트상품으로 키우겠다는 전략이다. 하반기( ... ...
[기자의눈] 창조경제 열풍 속, 과학문화는 어디로 갔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바로 세우고 관리감독 체계를 꼼꼼이 만드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진 않겠지만 해결의
실마리
를 찾을 수 있는 사안이다. 이쯤에서 과거 광우병 파동, 방사능 아스팔트 논란 등을 되짚어 보자. 이 사건들은 다양한 과학적 해석이 분분하겠지만 핵심은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이었다. 정부에 대한 ... ...
[기고/이양호]6차 산업을 아십니까
동아일보
l
2013.04.30
한다. 그렇다면 농업 분야에서 창조경제는 어떤 식으로 풀 수 있을까. 융·복합으로
실마리
를 찾을 수 있다. 농업을 첨단기술과 융·복합하고 가공, 관광, 외식과 융·복합하여 6차 산업으로 발전시키면 될 것이다. 이스라엘은 사막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수출하는 나라다. 그러나 오늘날 농업강국으로 ... ...
호박 덩굴손은 타고난 수학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4.26
평범해 보이는 식물들이지만 과학자들은 여기서도 비범한 현상을 알아차리고 차근차근
실마리
를 풀어 마침내 생물학 뿐 아니라 물리학, 수학의 측면에서도 아름다운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들 연구 덕분에 호박을 재발견한 건 큰 즐거움이었다. 이번에는 콩과 식물을 찾아 꼬투리를 좀 따와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에너지 변환 효율이 극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그럼에도 과학자들은 아직까지 그
실마리
를 찾지 못했다. 생체의 광합성계가 너무 복잡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과학저널 ‘사이언스’ 4월 18일자 온라인판에 마침내 화학자들이 양자 결맞음 현상을 보이는 분자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유다. 물론 이번 데이터 역시 암흑물질이나 암흑에너지의 실체에 대해서는 어떠한
실마리
도 주지 못했다. ●고에너지 양전자의 기원은 암흑물질? 과학저널 ‘사이언스’ 4월 12일자에는 ‘알파자기분광계(AMS)’가 관측한 데이터를 해석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기사가 실렸다. 무려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붙였을 때 처음 이중결합이 나오는 탄소의 위치다. 이 미스터리에 대한 첫 번째 중요한
실마리
를 푼 연구결과가 2010년 생물학저널 ‘셀’에 실렸다. 즉 오메가3지방산의 항염증 효과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대식세포나 성숙한 지방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GRP120이라는 수용체에 달라붙어 염증반응을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위의 설명은 유력한 추정일 뿐이다. 그 이유는 엄청난 피해 현장을 남긴 퉁구스카 폭발의
실마리
가 되는 증거를 전혀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 이번 러시아 유성체 폭발보다도 훨씬 규모가 큰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운석이 부딪쳐 생긴 구덩이는커녕 운석 조각 하나 발견되지 않았다. 참고로 소행성이나 ... ...
이전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