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뉴스
"
실마리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계 소식]전장수 GIST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 外
2014.08.06
없어지는 퇴행성관절염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혀내 예방과 치료방법 개발에 새로운
실마리
를 제공한 공로를 인정 받았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은 과학기술자의 사기진작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사람을 발굴·포상하는 제도로 1997년 4월부터 매월 1명을 선정, ... ...
제논 없는 행성, 지구
과학동아
l
2014.07.21
위키미디어 제공 지구 대기 중 제논의 농도는 0.087ppm으로 매우 낮다. 제논은 화성 대기에서도 아주 극미량만이 존재한다. 그런데 태양계에서 이렇게 제논의 농 ... 새로운 화학반응을 찾아냈다”며 “지구와 화성에서 사라져버린 제논의 행방에 대한
실마리
를 찾았다”고 설명했다 ... ...
‘그린벨트’로 묶여 있던 과학벨트 부지, 이제 자유~
과학동아
l
2014.07.08
완성될 예정이다. 또 신동지구에 지어질 중이온가속기도 부지 확보 문제에
실마리
가 풀리면서 하반기부터 건립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그동안 이 사업은 부지 확보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장치구축에만 집중해 왔다. 이제 설계업체를 선정하고 11월에 설계에 들어가면 신동지구 부지 ... ...
주석 비켜, 구리 나노와이어 납시오
과학동아
l
2014.07.07
장점이 많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향후 구리 나노와이어를 이용한 투명전극 개발의
실마리
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지난달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인식할 수 있는 얼굴 표정이 없다는 것. 이 두 특징은 사람이 동정심을 갖게 되는 데 주요
실마리
가 되기 때문에 물고기로서는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진화에 대한 오해도 이런 차별에 기여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어류에서 양서류, 양서류에서 파충류, 파충류에서 조류와 포유류가 ... ...
두 종류 ‘빛’을 하나로 융합
과학동아
l
2014.06.23
원리를 한층 더 발전시키면 차세대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 구현을 위한
실마리
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양자컴퓨터는 아주 작은 전자나 광자 같은 양자를 이용한 정보처리방식으로 초고성능 저전력 컴퓨터 개발에 쓸 수 있다. 정 교수는 “이번 성과를 이용하면 10여년 뒤 ... ...
감자부터 북극곰까지 15년간 게놈클럽 회원 240명 넘어
과학동아
l
2014.05.09
제공 ●북극곰에서 심혈관계 치료제 개발
실마리
체중의 절반이 지방인 북극곰은 의학적인 관점에서는 비만이다. 먹잇감으로도 지방 함량이 높은 바다표범을 즐긴다. 하지만 비만일 때 발생하기 쉬운 심혈관계 질환에는 잘 걸리지 않는다. 미 ... ...
꿀벌이 가장 힘든 계절은?
과학동아
l
2014.04.11
독특한 행동패턴인 ‘8자 춤(waggle dance)’을 계절별로 분석해 꿀벌 개체수를 늘리기 위한
실마리
를 찾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꿀벌의 8자 춤은 동료에게 꿀이 있는 꽃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행동이다. 이를 밝혀낸 오스트리아 출신 동물학자 카를 폰 프리슈 독일 뮌헨대 ... ...
뽑아볼까, ‘우주 미스터리’ TOP 3
과학동아
l
2014.04.04
존재하고 양전자가 사라진 이유는 뭘까. 원은일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최근 그
실마리
를 찾아냈다. 일본 고에너지물리연구소(KEK)에 있는 가속기에서 양전자를 만들어 전자와 충돌시켰더니 그 과정에서 발생한 ‘매혹 중간자(Charm meson)’가 반물질인 ‘반-매혹 중간자’로 바뀐다는 사실을 ... ...
뱃속 태아 뇌 성장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4.04.03
말했다. 생쥐 뇌 신경 고속도로는 인간 뇌의 신경연결망을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
로도 활용될 수 있다. 사람의 신경세포는 1000조 개에 달해 분석이 어려운데, 뇌 구조가 비슷한 생쥐는 신경세포가 7500만 개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생쥐의 뇌 깊숙한 곳에 있는 ‘기저핵’과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