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리
모임
그룹
단체
떼
군중
대중
d라이브러리
"
집단
"(으)로 총 1,768건 검색되었습니다.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니콜스 호주 플린더스대 교수는 5살 난 호주 어린이 5000명의 학교 생활을 관찰한 결과
집단
전체 평균만으로 비교하면 왼손잡이 어린이가 오른손잡이보다 수행능력이 못하다는 통계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 중 누가 더 낫다고 판단하는 것은 영원히 불가능 할지 모른다.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확률은 처음 그 사건이 한 번 일어날 확률보다 값이 커질 가능성이 크다.예를 들어 전체
집단
에서 교통사고를 낼 사람의 확률이 10%라고 하자. 100명 중 10명이 교통사고를 낸 것이다. 그런데 교통사고를 낸 사람이 또 한 번의 사고를 더 낼 확률을 생각해 보자. 교통사고를 낸 10명 중에서 2명만 사고를 ... ...
고발합니다! 스마트폰은 유죄 ?무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의견이 56.6%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으로 폭력물을 보고 따라하거나 온라인에서
집단
따돌림을 시키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스마트폰의 무죄를 주장합니다!저는 피고 측 특별 변호사입니다. 스마트폰이 모든 죄를 뒤집어쓰고 있는 것 같은데요, 기계를 올바르게 다루지 못하는 우리의 습관을 바꿔야지 ... ...
박테리아도 협동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이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개체는 죽고 튼튼한 박테리아만 남게 돼요. 즉 항생물질은
집단
이 건강하게 진화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죠.나를 도와 지구를 정복해 보지 않겠니?우리는 앞으로 사람들이 건강하도록 유익하게 쓰일 예정이에요. 최근에 나타난 슈퍼박테리아를 무찌를 군사가 되기로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0.28%였다. 수학 성적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단성학교에 다닐 때 성적 향상 효과가 가장 큰
집단
은 중상위권 남학생이었고, 하위권 학생에게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남학생에게는 수학 성적 향상 효과가 컸지만, 여학생은 효과가 거의 없어 남녀 차이가 가장 두드러졌다. 국어는 남녀 모두 비슷한 ... ...
생명수학을 만나다! 건국대 수학과 정은옥 교수
수학동아
l
2012년 12호
시각화 한다.가장 기본이 되는 변수는 시간이다. 전염성 질병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각
집단
의 개체 수가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수학자들은 이를 예측하기 위한 방정식을 세운다. 이때 고려해야 하는 변수는, 시간 외에도 그 사이 자연적으로 죽음을 맞이하는 개체 수 등 매우 다양하다. 이렇듯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늘리는 법안에 찬성 혹은 반대표를 던졌다. 그 결과 투표 전에 학교와 관련된 사진을 본
집단
이 찬성표를 던지는 비율이 높았다. 지금까지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투표 장소가 무의식중에 우리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을 가능성을 보인 연구다.선택의 순간이 온다이제 선택의 순간이 돌아왔다. 아직 ... ...
베이징인과 야쿠자의 추억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호모 사피엔스)는 내륙을 중심으로 한 북방인과 해안선을 따라 분포하는 남방인의 두
집단
으로 나뉩니다. 호모 에렉투스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럼 베이징인은 춥디 추운 한겨울의 날씨가 계속되는 빙하기를 털 옷과 불로 현명하게 견딘 북방인이었을까요, 아니면 비교적 따뜻한 아간빙기를 틈타 ... ...
농사는 인류를 부자로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유전자 다양성 역시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입니다(다양성의 원동력인 돌연변이는
집단
이 클수록 많아집니다). 오늘날 우리가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무궁무진한 다양성은 결국 농경 덕분입니다. 농경의 발달과 유전자 다양성은, 사람의 문명이 오히려 인류의 진화에 직접 영향을 미친 예입니다.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연구팀은 우리나라 산양 서식지 21곳 중 산양이 지속적으로
집단
을 이루며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서식지가 4곳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바위가 있는 고지대에 사는 산양은 렙토스피라 같은 유전 질병이나 근친퇴화로 빠르게 멸종에 이를 수 있다.서울대 이항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