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융복합 파트너] 내 몸의 모든 단백질 한눈에 단백체 지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있다.김 교수는 “멀티오믹스를 활용하면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라 각 기관과 조직별로
정확
한 유전체 지도와 단백체 지도를 만들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밝혀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최근에는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미국국립보건원(NIH) 국립암센터(NCI)에서 주도하는 국제암유전단백체 컨소시엄(ICPC ... ...
[하비맨] 파이데이를 기념하며 키슈에게 ‘Kiss You’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자와 컴퍼스만으로 1913년에는 π를 소수점 아래 6자리 수까지, 1914년에는 8자리 수까지
정확
하게 그리면서 √π의 근사치를 구현해 원적문제를 일부 해결했죠. 3단계 키슈 만들기 총평 “하비맨 대표 요리 탄생” 하비맨처럼 요리를 잘하지 못해도 만들 수 있습니다. 과정이 생각보다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만나는 점이 아니니까요.‘원뿔의 꼭짓점’은 원뿔에서 뾰족한 점으로 1개예요. 더
정확
하게 말하면 원뿔의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중심이에요. 그래서 꼭짓점의 정의에 대해 다시 알아보게 됐고, ‘각뿔의 꼭짓점’은 삼각뿔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한 개라는 글을 보게 됐어요.혼란의 시작은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인공지능이 심판 본다! 청기백기 게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훈훈한 훈쌤이랑 말로만 들었던 인공지능을 엔트리 홈페이지(playentry.org)에서 함께 만들어 봐요. ‘청기백기 게임’은 청색 깃발과 백색 깃발을 양손에 각각 들고 ... 알 수 있지요. 이를 훈련 중인 선수의 자세 데이터와 비교하면 공을 찰 때 고쳐야할 점을
정확
하게 알아낼 수 있답니다 ... ...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의미하는 그리스 문자인 π로 표시하죠. 지금 우리가 너무나 당연하게 쓰고 있는 π의
정확
한 값을 알아내기 위해 동서양의 학자들은 수천 년 전부터 연구를 이어왔어요. 파이데이를 맞아 준비한 수학자들의 π 구하기 열전,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경이로운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학교 수업 중 원의 넓이나 둘레 등을 계산할 때 쓰는 원주율(π·파이)은 3.14입니다. 소수점 아래 2번째 자릿수까지만 계산에 넣는 거죠. 하지만 현대 공학과 산업 분야에서 ... 맞혔습니다. 150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어떤 수학자도 알 카시가 구한 것보다 더
정확
한 값을 제시하지 못했죠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이 식을 사용하면 첫 번째 항만을 이용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8번째 자릿수까지
정확
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1985년 당시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소속의 수학자 빌 구스퍼가 이 식을 적용한 알고리듬을 개발해 원주율의 소수점 아래 1700만 번째 자릿수까지 알아내는 데 성공합니다. 그보다 현대적인 ... ...
[한페이지 뉴스] 액시온 존재 2배 빨리 찾는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양자 압착 기술을 이용하면 위상을
정확
하게 측정하는 것을 포기하는 대신, 진폭을
정확
하게 분석해 각 주파수에서 액시온의 존재 여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을 활용해 액시온 존재 여부를 일반적인 분석 속도보다 두 배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때도 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다. 다만 아직은 관측
정확
도가 떨어진다.
정확
도를 높이기 위해 부빙에 설치된 측정소와 원격 탐사 장비가 관측한 데이터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해빙과 눈이 마이크로파의 방출, 반사 및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알 수 있었다. 빠르고 취약한 변화 ... ...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위치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지구와 금성을 연구해 얻은 정보는 다른 외계행성을 더
정확
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비교 정보가 됩니다. 두 행성의 불규칙적인 밝기 변화로 대기가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을 알게 됐습니다. 외계행성에 대기가 존재할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구나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