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소"(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서울대 다이로스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종류 이상의 자율운전기능을 갖추고 있지요. 레벨 3은 주차장이나 고속도로처럼 지정된 장소에서 스스로 움직일 수 있지만, 완벽하진 않아요. 비상시에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어야 하지요. 현재 개발된 무인자율주행 자동차의 수준은 레벨 3 정도랍니다.레벨 4는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이용합니다.다른 사관학교에서 배우는 내용도 같나요?기본적으로는 같습니다. 다만 장소가 다르니 적용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지요. 군사 물품을 보급해야 하는 상황을 예를 들어볼게요. 물품을 안전하게, 그리고 빠르고 정확하게 조달해야 한다는 목표는 같습니다. 그러나 육군은 땅에서 차를 ... ...
- [헷갈린 과학] 낙타와 똑 닮은 라마vs알파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라마는 수컷 한 마리와 여러 마리의 암컷이 무리를 지어 살아요. 공동으로 사용하는 배설 장소가 있고, 자신들의 영역을 표시하기도 하지요. 포식자가 나타나면 경계하는 소리를 내서 무리를 위협으로부터 보호해요. 미국 서부 지역의 사람들은 라마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라마에게 양떼를 지키게 ... ...
- Part 4. 전투의 비밀병기,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전달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전쟁 중에는 모든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며 전투가 벌어지는 장소와 시간, 날씨에 따라 전쟁의 양상이 달라진다. 무엇보다 물품 보급과 지휘관의 적절한 작전 지시는 전쟁의 승패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래서 지휘관은 늘 시간에 따라 변하는 병력의 수와 군수 물자의 ... ...
- Part 1. 현대 전쟁 속에 숨은 패턴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장 먼저 이라크전을 분석했다. NGO 보고서와 신문에서 공격하는 데 걸린 총 시간, 장소, 사용된 무기 정보를 모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었다. 고울리는 공격 규모의 분포에 주목했다. 공격 규모는 사망한 사람의 수와 공격을 가한 횟수에 따라 일관된 분포를 보였다.전쟁을 예측하는 방정식연구팀은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세균주에서 콜리스틴 내성 유전자(mcr-1)를 발견했다”며 “이 병원들은 환자가 진단받은 장소일 뿐이고 실제 환자가 어느 지역에 사는지, 보유하고 있던 균이 병원성을 가지고 있었는지 등은 알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이 병원균이 특정 지역에만 예외적으로 존재하는 게 아닐 가능성도 있다는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물이 풍부해 사람이 살기에 좋고 곡식도 잘 자랐다. 여기는 고대 밀이 처음 나타난 장소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고대 이집트는 빵에 관한 유적과 유물이 가장 많다. 빵을 만드는 전 과정이 담겨 있는 벽화부터 빵을 구웠던 터, 밀을 갈았던 도구나 반죽을 구웠던 토기와 화덕…, 심지어 수도였던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폐광에서 잠을 자는 붉은박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5월 중순에 깨어나요.그런데 붉은박쥐가 아무것도 먹지 않고 220일을 견디려면 특별한 장소가 필요해요. 잠을 자는 동안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온도는 12~14℃, 습도는 90% 이상이 일정하게 유지돼야 하거든요. 그래서 우리나라의 붉은박쥐는 주로 동굴이나 폐광을 이용한답니다.겨울잠을 자던 ... ...
- [Origin] 스페인 유전체조절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도 참 부럽습니다. 테라스 공간은 연구원들이 가장 사랑하는 장소라고 합니다. 아침에는 차를 마시고 점심에는 식사를 하고 저녁에는 간단히 와인을 마시는 낭만이 있다고요. 아쉽게도 평소엔 외부인들에게 개방하지 않지만, 1년에 두 번은 연구 내용을 대중들에게 알리기 ... ...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생존을 포기한다고 생각했다. 많은 양의 에너지를 생식을 위한 여정에 사용하고 산란 장소에 도달하면, 그만큼 생존에 필요한 면역기능 등에 필요한 에너지가 부족해져 개체는 생존을 포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생식과 생존이 대립하는 학설이 주창되면서 사회적으로 많은 화제를 일으켰다. 하지만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