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꼬리없는 정자로 임신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국내에서 시술에 성공한
원형
정세포는 정자와 가장 가깝게 분화된 상태다.이처럼
원형
정세포를 난자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을 ROSI(ROund Spermatid Injection)라고 한다. 성숙한 정자처럼 머리와 꼬리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전달하려는 유전자만 제대로 전달하면 되는게 아니냐’는 것이 ROSI의 ... ...
무지개는 왜
원형
일까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나온다. 즉 무지개가
원형
인 이유는 물방울이
원형
이기 때문이다. 만약 물방울이
원형
이 아닌 사각형이나 삼각형이라면 우리는 새로운 모양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해가 지평선에 걸려있고 빗방울들이 관찰자로부터 1km 떨어진 곳에 있다고 하자. 관찰자보다 730m 높이에 있는 물방울에서 ... ...
가락지성운은 원통모양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수명을 다하고 폭발하면서 잔해가 우주 공간으로 퍼져나가면서 생겨난 것이다.그 동안
원형
으로 알려져 온 가락지성운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새로운 사진을 보내옴으로써 그 실체를 드러냈다. 실제로 가락지성운은 원통형이지만 지구에서 볼 때는 그 한쪽 끝만을 보게 되므로 원으로 보이게 된다는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최초의, 그리고 가장 성공적인 양자장론이며, 후에 나온 모든 양자장론의 방법론적
원형
이 되고, 전자기 약작용 및 강작용을 기술하기 위한 게이지 이론으로 확장돼 나갔다.한편 양자전기역학은 진공의 구조에 대한 인식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철학적인 면에서도 인간의 인식과 사고의 전환을 ... ...
자석놀이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방향이므로 받는 힘은 반대가 돼 회전한다.하지만 그 힘으로 한바퀴를 회전할 수는 없다.
원형
자석과 코일이 수직을 이루고 있을 때 힘을 받아 회전하다가, 반 바퀴 돌아서 오면 코일은 반대의 힘을 받아 멈추어버린다. 이때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힘은 없어지고 관성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발전시켜 우주의 화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일을 시도했다.케플러에 따르면 우주는
원형
의 현을 갖춘 모양의 거대한 현악기이며, 천체가 움직이면 마치 현을 퉁겼을 때처럼 공기가 진동되며 소리를 낸다는 것. 합주의 지휘자는 태양. 이 천체의 합주로 하늘의 조화가 이루어진다는 생각이다 ... ...
추석 차례상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둥근 달과 함께 어우러진다. 알알이 여문 알곡과 만월이 주술적인 연상으로 묶이면서
원형
(圓形)으로 추상되는 민간신앙을 낳았다. 그 중 하나가 둥근 달과 알곡을 모방한 송편이다. 또 달빛 아래서 여인들이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추는 강강술래도 알곡과 보름달이 투영된 춤이다.북망산과 ... ...
1. 신비한 고래의 생태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새끼 돌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보모 역할을 한다. 그들은 새끼돌고래들을 가운데에 두고
원형
으로 헤엄쳐 새끼돌고래들이 안전하게 놀도록 한다. 일종의 새끼돌고래놀이터를 만들어 주는 셈이다.잠수챔피언 말향고래말향고래(Physeter macrocephalus)는 머리가 몸의 3분의 1 정도 되는 특이하게 생긴 ... ...
⑤ 태양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인류 공통의 태양신화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동명왕 신화에서 우리나라 태양신화의
원형
을 발견할 수 있다. 고구 려의 시조 동명성왕인 주몽의 아버지 해모수는 천신을 겸한 태양신의 모습이었다. 그는 날마다 오룡거를 타고 아침에 지상으로 내려와 정사를 보살피고, 저녁에는 다시 하늘로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얼마나 찌그러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0이면 원이 되고 1에 가까워질수록 타
원형
으로 늘어난다. 태양계에서 가장 큰 이심률을 자긴 수성과 명왕성조차 그 값이 0.2에 불과하다는 사실과 비교한다면 매우 큰 값이라고 할 수 있다.왜 이처럼 길쭉한 궤도를 가진 행성이 존재하게 되었는가 하는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