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그라미
서클
기본형
으뜸꼴
원
모형
둥근꼴
d라이브러리
"
원형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빨대로 만든
원형
스피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신호로 전달된다. 이 전기 신호는 전류의 변화를 만들어 낸다. 일반적인 동전형 스피커(
원형
스피커)의 경우 우리가 만든 이어폰과 비슷하게 자석과 코일이 포함돼 있으며 코일은 진동판에 연결돼 있다. 자기장 속에서 도선이 받는 힘은 전류의 세기에 비례하므로 전류의 변화는 코일에 미치는 힘의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노출시킬 때 미세한 각막절삭기를 이용, 얇은 포를 뜨듯이 1백60μ 두께의 각막절편을
원형
으로 자른 후 이를 제껴 각막조직을 노출시킨다. 여기에 레이저를 쪼여 원하는 도수만큼 각막을 갈아낸다. 이후 제껴 두었던 각막절편을 다시 제자리에 덮어준다. 이렇게 되면 상피세포층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 ...
자석 바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전류는 위방향이고 자기장의 방향은 왼쪽 방향이다(양쪽 자석에 의해 만들어지는
원형
자기장 성분 중 전류에 수직인 성분을 말한다).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힘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다. 같은 방법으로 하면 알루미늄관의 오른쪽 지점에서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 ...
건전지에 매달려 도는 팽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보자.■왜 그럴까?자석과 닿아있는 못에는 전류가 아래 방향으로 흐르고 자석 주변에는
원형
의 자기장이 만들어진다. 못의 횡단면 왼쪽 끝을 생각해보자. 못의 왼쪽 지점에서 전류의 방향은 아래방향, 전류에 수직한 자기장의 성분은 오른쪽 방향이므로 힘의 방향은 지면에서 나오는 방향이다. 이에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둥지의 중요한 특징은 부화되면서 새끼가 빠져나간 위 부분을 제외하고 알 껍질이
원형
으로 보존돼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새끼 오로드로미우스가 알에서 부화되자마자 어미 닭이 하는 것처럼 어미의 보살핌 하에서 곧바로 둥지를 걸어나갔다는 것을 강하게 암시한다. 알속에서 화석으로 발견된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마방진처럼 사각형 형태의 직교형 배열에 집중한 것인 반면 동양에서는 방진 외에도
원형
, 십자형, 거북등형 등 다양한 형태의 숫자배열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그것은 대표적으로 양휘와 최석정의 책에서 잘 볼 수 있다. 최근 서구에서는 유대 별모양의 6각형 배열, 삼각형 배열, 오각형 별모양 배열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타원은하는 대부분 나이가 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별한 무늬 없이
원형
이나 타
원형
을 하고 있다. 이들 중 크기가 작은 왜소타원은하는 크기는 작지만 큰 질량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전체 은하 분포의 약 50%를 차지한다. 불규칙은하는 특별한 모양을 가지지 않지만 전체 은하의 약 20%를 ... ...
Ⅰ. 피라미드, 스톤헨지 그리고 판테온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원형
천장은 16개의 큰 기둥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16개의 기둥만으로 이처럼 큰
원형
천장을 받치는 것은 구조적으로 볼 때 무리다. 그러나 로마 사람들은 16이라는 숫자에 대한 신앙적 믿음 때문에 16개를 초과해 기둥을 더 쓰지 않았다.그 대신에 이에 따르는 구조적 무리를 릴리빙 아치(relie-ving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참여한 남성은 정소에 결함이 있어 자체적으로 성숙한 정자를 만들지 못했다. 만일
원형
정세포까지 만들 수 있다면 ROSI를 통해 임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훨씬 이전 단계인 정원세포나 제1정모세포에 머물고 있는 남성이라면 문제가 다르다. 아직 염색체수가 절반으로 줄지 않은 탓에 생식세포로서의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전통적인 건축은 우리의 자연환경과 생태학적인 조화를 이루어온 한국적 생태건축의
원형
으로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전통이 그대로 현실의 생태건축이 될 수 없는 것은 현대인의 욕구와 생활방식이 전통의 건축에서 그대로 충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생태계와의 조화를 따진다면 전통의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