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습도 조절해 기계적 에너지 만든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결정에 일정한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첸 시 뉴욕시립대 고등과학연구
센터
교수는 “물이 증발할 때 결정의 망구조에 큰 변형이 일어난다”며 “이를 활용해 물의 증발 현상으로도 구동할 수 있는 (인공 근육, 나노 기계 등의) 새로운 액추에이터(작동기)를 만들 수 있을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잘못? 러시아 잘못? 나로호 발사 실패 책임 공방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만에 재개된 3차 발사 준비 2012년 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팀은 다시 한 번 나로우주
센터
에 모여 3차 발사 준비에 돌입했다. 2차 발사 실패 후 1년 넘게 실패 원인을 조사하며 연구원들의 몸과 마음은 지칠 대로 지쳐있었다. 러시아와의 공방도 힘들었지만 내부를 이해시키는 일도 결코 쉽지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주요 인터넷 기업은 자사의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를 구축해 운용 중이다. 이 데이터
센터
를 기반으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ETRI는 국내에 클라우드 기술이 알려지기 시작한 2010년부터 다양한 기술을 연구 중이다. 언제 어디서나 개인의 PC환경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는 ... ...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연구결과가 발표됐다.하야시 마사미치 일본 국립정보 및 통신기술연구소 정보신경망
센터
(CiNet) 연구원팀은 오른손잡이인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시간 왜곡을 알아보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피험자들에게 정중앙에 회색 원이 30번 깜빡이는 화면을 지켜보게 했다. 단, 피험자들을 두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자체 데이터
센터
를 갖고 있지만 클라우드 업체인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데이터
센터
내 서버와 서버간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인프라 서비스(IaaS)를 빌려쓴다. INFOGRAPHIC클라우드 기술 어떻게 작동할까 일상에서 클라우드는 매우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속에는 복잡한 기술이 녹아들어 ... ...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캐릭터가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거죠. 2019년에는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트렌드
센터
연구팀이 20대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사람들이 캐릭터를 볼 때 어느 부분을 주로 보는지 눈동자를 추적하는 ‘아이트래킹’ 기술로 알아봤는데, 캐릭터의 얼굴을 주로 본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얼굴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푸는 데 활로를 뚫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2016년부터 프랑스 국립과학연구
센터
(CNRS) 등 7개 유럽 연구기관과 시카고대 등 5개 미국 대학 소속 과학자들은 유리의 비밀을 밝히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무질서한 입자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비단 유리에만 국한되는 것이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나로호 이전에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익숙한 부분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나로우주
센터
위성조립동의 먼지 수가 6000개를 넘었다. 지하 기계실에 있는 공조기가 고장이 나면서 화재경보기가 작동해 오염에 노출된 것이다. 하는 수 없이 인공위성과 나로호 2단에 대한 청정화 작업을 한 뒤 ... ...
[기획] 장난감 연구실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유체 렌즈는 파도가 만드는 왜곡을 제거해, 산호를 뚜렷하게 볼 수 있거든요.에임스연구
센터
에선 ‘NeMo-Net’이라는 게임을 만들었어요. 시민과학자가 해저를 가상으로 여행하면서 유체렌즈로 찍은 고화질 이미지와 비교해 저화질의 이미지 중 산호를 식별하고 분류하는 게임이에요. 인공지능이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목표다. 채태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
센터
위성활용부장은 “우리나라가 운용하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앞으로 극지를 더욱 촘촘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연구자가 타고 있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