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센터"(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디지털 세상, 안전하게 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능력, 디지털 세상에서 타인과 소통하는 능력을 말해요. 이화여자대학교 창의교육 거점센터에서도 디지털을 긍정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알려주는 리터러시 교육이 열려요. 학생들은 명화나 유적지의 사진을 모아 가상의 미술관을 만드는 등 디지털과 친숙해지는 활동을 하고, 디지털 세상에서 다른 ... ...
- [특집] 해커의 침입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수 있게 된 거예요. 양자암호를 연구하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이원혁 박사는 “모든 것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시대에는 보안이 점점 중요하다”며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양자암호는 꼭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기술을 선별, 선점할 때 수학이 유용하게 쓰인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의 산업수학혁신센터에서는 산업 현장의 어려운 문제를 수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으로 해결하는 ‘산업 수학’으로 스타트업이 겪는 금융이나 바이오, 제조업 등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한다. 수학자면서 스타트업 창업에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실험 중간에 플라스마를 꺼둔 상태네요.”김웅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플라즈마안정화연구부 부장은 기자를 핵융합 실험동 주장치실로 안내했다. 입구에서 안전모를 착용하고 짧은 복도를 따라 들어가자 높이가 약 10m나 되는 KSTAR가 눈에 들어왔다. 사진으로는 알 수 없던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연료 공급이 저절로 이뤄지는 셈이다.홍석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선행기술연구센터 DEMO기술연구부 부장은 “블랭킷을 이용한 삼중수소 공급 시스템은 ITER에 처음으로 적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려면 건설된 발전소를 더 오래, 안전하게 활용하게 하는 기술도 ...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할 요소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디미트라 아트리 미국 뉴욕대 아부다비 우주과학센터 연구원팀은 총 492개 중심별 근처 생명체 거주 가능 지역에 위치한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극자외선에 의해 손실되는 대기량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중심별이 내뿜는 플레어(고에너지 입자의 폭발)와 중심별에서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않지만, 10시간 이상은 얘기가 다를 수 있으니까요. 실제로 2006년 미국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 연구팀은 N95(KF94와 유사한 차단 효과) 마스크를 끼고 4시간 이상 생활할 경우 순간적으로 혈중 이산화탄소량이 많아져 저산소성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사스 ... ...
- 또 하나의 태양을 지구에 재현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STAR연구센터 책임연구원으로 핵융합 플라스마의 상태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진단장치를 연구하고 있다. yunam@kfe.re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차양을 씌워 빛 반사를 줄인 위성이다.트레글로안-리드 칠레 안토파가스타대 천문센터 연구원을 비롯한 세계 천문학자들이 다크샛을 관측한 결과, 이전보다 위성이 반사하는 빛의 밝기가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doi: 10.1051/0004-6361/202037958 하지만 최 책임연구원은 “스타링크 위성의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2015년부터 구상나무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구상나무 주변 기후가 고온, 건조, 고농도 이산화탄소(CO2) 상태로 변할 때 구상나무의 유전자 발현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내는 것이 목표다. 국립생태원 연구팀은 높은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