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수
해조
짠물
민물
바다물
바다
소금물
d라이브러리
"
바닷물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전기통신을 위해 해저에 시설하는 케이블 이러한 해저 케이블은 해저의 높은 수압이나
바닷물
에 의한 부식에서 보호하고 부설수리공사 같은 외적 작용에 견딜 수 있도록 일반 육상 케이블과는 다른 재료 · 구조가 요구된다 독일의 자연과학사가(史家) F 다네만의 저서 l920~23년에 간행되었다전4권 ... ...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조력발전소에 적용될 수 있다.이들은 양식장의 피해를 걱정하던 주민들에게 방조제로
바닷물
을 막으면 물살이 잔잔해져 오히려 양식하기 좋아진다는 과학적 근거를 보여줬다. 환경단체 연구원을 조사활동에 직접 참여시키기도 했다. 이런 노력 덕분에 곧 세계 최대 규모의 조류발전소와 환경친화적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해양선상캠프에 참가했다. 심해에서 끌어올린 물을 손으로 만지며 수심이 깊어질수록
바닷물
의 온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느꼈다. 해저 밑바닥의 진흙을 퍼올려 저서생물을 찾아냈고, 작은 플랑크톤부터 오징어, 병어, 자동차 타이어만한 불가사리까지 다양한 해양생물을 채집했다. 첫날은 뱃멀미 ... ...
산호초로 기후변화 감지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류는 열대의 뜨거운 햇빛을 흡수해 광합성을 하고 산소와 영양분을 생산한다. 이때
바닷물
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 산호초 단위면적당 광합성 능력은 아마존의 열대우림보다 더 뛰어나다.1991년 국제연합(UN)이 발표한 지구환경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면적 가운데 60만km2를 차지하는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데에도 큰 도움이 돼지. 그래서 천연기념물 제431호로 지정돼 있어.”조간대밀물 때는
바닷물
에 잠기고 썰물 때는 물 밖으로 드러나는 곳.해빈강물에 의해 바다로 실려 온 모래가 파도에 의해 이 곳에 쌓인다. 모래는 천연 풍향계모래 표면에 나 있는 물결무늬를 보면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있다. ... ...
최초의 '그린' 해저탐사선 상용화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따르면 앞으로 6개월 동안은 지금처럼 움직일 수 있다.수중글라이더는 깊이에 따른
바닷물
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동력을 얻는다. 바다 표면의 따뜻한 물에 의해 수중글라이더의 튜브 안에 있는 왁스가 팽창하면 펌프가 작동해 수중글라이더를 전진시킨다. 그와 동시에 수중글라이더는 옆날개를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풍향, 풍속을 잴 수 있다. 가시광선 센서로는
바닷물
의 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데,
바닷물
이 흐려진 원인이 부유물 때문인지, 적조 때문인지는 정확히 구분하지 못했다.안 단장은 적조를 일으키는 식물플랑크톤이 빛을 흡수하는 정도(흡광도)를 이용하면 부유물과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을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나온 덩어리빙붕이 바다로 떨어져 나와 생긴 얼음덩어리산꼭대기를 덮고 있는 얼음층
바닷물
이 얼어 만들어지며 아무리 두꺼워도 1년에 2m 이상 자라지 못한다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 이동하면 유빙(pack ice)이라고 부른다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해안에 남아있었다. 다행히 70%가 생분해되거나 광분해 돼 사라졌지만 1% 정도는 여전히
바닷물
에 퍼져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사람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눈에 보이는 피해는 조만간 사라진 듯 보이겠지만 생태계가 받은 충격은 쉽사리 회복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특히 갯벌과 연안에 침투한 기름이 ... ...
'팔방미인' 독도의 속살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현재까지 발견된 종은 전체의 1%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최근 독도사업단은 독도 주변의
바닷물
과 독도에 서식하는 갈조류의 뿌리에서 새로운 미생물 6종을 찾아냈다. 이 가운데는 항생물질을 만드는 미생물도 포함돼 있어 신약 개발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노현수 박사팀은 독도의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