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다채널이 아니다”라며 “뇌의 각 부위에 있는 개별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신호를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폭 수십μm 바늘로 고해상도 신호 처리뇌파를 추출한 뒤 이를 통해 로봇 의수나 컴퓨터 등 외부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을 ‘뇌-기계 접속(BMI·Brain Machine Interface)’이라고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만날 수 있을 겁니다. 무심코 지나왔던 수학 교과서가 어떤 방법으로 우리를 1과 2도 구분하지 못하는 단계에서 미·적분까지 가능하도록 이끌었는지, 또 충분히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부분을 벗어나 어떤 세계를 감추고 있었는지 청문회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팩트체크V 수 체계이 증언은 ... ...
- 2019 과학계 파워피플 7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세 기준 중 하나인 ‘정책 결정의 파급력’이 단순히 직위나 직책에서 나오는 힘과 구분돼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김승환 교수도 “지속가능한 영향력을 가진 사람을 선정해야 한다”고 동의했다. 파워피플 선정을 더 개선하기 위한 제언도 있었다. 김정호 교수는 “기술기업을 이끄는 기업인, ... ...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super-resolution)’ 기술이 바로 이런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입력한 파장보다 작은 형상을 구분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유전율과 투자율 중 한 가지 매개변수만 음수인 경우 위상속도가 허수(imaginary number)가 된다. 이때는 아래의 그림 3처럼, 빛이 전파되지 못하는 구간(bandgap)이 특정 주파수 영역에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다. 분석 기술이 발달하면서 스펙트럼만 있으면 소행성 표면이 규소질인지 탄소질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소행성 탐사 전 소행성의 질량과 중력도 알아야한다. 지름이 수 km밖에 되지 않는 놈이라면 표면과 내부 물질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빛을 통해 얻은 소행성의 ... ...
- 거짓말 탐지 수사 직접 받아보니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는 범인과 숨김 정보를 전해 들어 나중에 알게 된 무고한 사람의 신체 반응 차이를 구분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홍 심리연구사는 “숨김 정보를 전해 들으면 무고한 사람에게도 신체 변화가 나타나지만, 범인보다는 변화의 폭이 좁다”며 “둘 사이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판별하는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차례 모여 주기율표를 어떻게 만들지 5시간가량 토의했다”며 “음식을 이용해 한눈에 구분하기 쉬운 주기율표를 제작하기로 의견을 모았고, 미리 음식 사진들을 출력해왔다”고 말했다. 사전 토의가 효과가 있었던 것일까. 2조는 7개 조 가운데 유일하게 1번부터 118번까지 모든 원소가 들어간 ... ...
- [10대의 약] 봄 꽃가루가 '악마'로... 알레르기 비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혈액뇌관문(BBB·Blood-Brain Barrier)을 통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1세대와 2세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종종 비염 약을 복용한 청소년 환자들이 피로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주로 1세대 항히스타민제 때문입니다. 클로르페니라민, 페니라민, 디펜히드라민, 트리플로리딘 등 1세대 ... ...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연결돼 있다. 이때 개봉한 영화들 중 시간과 사건이 관련 있는 영화를 묶어 ‘페이즈’로 구분한다. 보통 페이즈 안에 포함된 단독 영화들이 각자 이야기를 풀어나가다가 영웅들이 모두 모이는 어벤져스 시리즈에서 한 페이즈의 전체 스토리를 마무리 한다. 어벤져스 첫 번째, 두 번째 시리즈와 달리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죠.통계는 데이터를 다루는 목적에 따라 크게 두 종류로 구분합니다. 하나는 수집한 데이터를 정리한 뒤 표로 만들거나 데이터의 특징을 알 수 있도록 평균, 분산, 표준편차 같은 통계 수치를 구하는 ‘기술 통계’(Descriptive statistics)입니다. 다른 하나는 새로운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