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 지식을 담은 꿈의 공간, 도서관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도서관 여행을 함께 떠나 보자.[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공공도서관. 중앙관 내부에는 여러 개의 원형 책장이 각각의 구획을 만들어 아늑한 공간을 연출하고 있다.]시선 어디에나 책!수많은 책이 큰 원을 그리며 사방을 감싸고 있다. 자연스럽게 사람의 시선도 원을 따라 돈다. 덕분에 수많은 책이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매우 어렵다. 지금까지 웜홀로 추정되는 어떠한 단서조차 찾지 못했다. 웜홀의 개념은 아직까지는 이론상으로만 존재할 뿐, 실체는 증명되지 않은 셈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른 시각에서 웜홀의 존재 가능성을 바라보기 시작했다. 3차원 공간에 시간을 더하면 4차원이 된다. 전문가들은 우주에는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다. 뉴턴의 운동 법칙처럼 사고의 근거를 마련해 줄 명제 몇 개를 근사적으로라도 정해 놓는 것이 과학적 탐구의 중요한 부분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물리학에서나 수학에서나 공리는 탐구과정의 유기적인 도구이기에 창조와 성숙, 변형과 죽음의 과정을 거치면서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참 신기할 정도예요. 지금도 그때 당시 같이 일했던 사람들과 10년째 함께 하고 있답니다. 개인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어딜 가든 함께 하는 주변 사람들이 중요하다는 걸 친구들이 잊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태양전지판이 먼지로 뒤덮일 가능성이 있거든요. 도도한 추리, 입맞춤만 하고는 이내 고개를 돌려버리네요.필래는 잠들었지만 저 로제타는 포기할 생각 없습니다. 앞으로 1년간 추리 곁을 지킬 거예요. 추리가 태양으로 다가갈수록 코마가 커지는 모습을 지켜볼 겁니다. 미로, 앨리스, IES 같은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떨어질 때의 기록이 많죠. 제가 확보한 블랙박스 영상만 70~80개인걸요. 좀 더 분석하면 새로운 연구 성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운석이 대중과 가까워졌다는 것도 무척 고무적이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는 운석신고센터가 생겼습니다. 국가가 문화재를 관리하듯,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최근 활발한 연구 시설은 어디에 있을지 지도에 원은 한창 실험 중인 시설이다. 숫자는 개시 연도다. 2020년 - RFNC-VNIIEF (러시아) 레이저미완공 2020년 - SG-III(중국) 레이저미완공 2015년 - 레이저 메가줄(프랑스) 레이저미완공 2015년 - W7-X(독일) 스텔러레이터미완공 2015년 - JT-60SA(일본) 토카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DSI는 지구에 인접한 소행성 9500여 개 가운데 18%인 1700여 개에서 희소 광물을 캐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구에서 1온스(약 30g) 당 1500달러인 백금으로 가득한 500m급 소행성이 있다면 그 가치는 2.9조 달러, 우리 돈으로 2900조 원에 이른다.아예 소행성에 공장을 세울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분포를 계산했다. 분석 결과 10초 동안 키스를 하면 평균적으로 약 8000만 개의 미생물이 상대방에게 옮겨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진은 커플을 대상으로 평소에 키스를 얼마나 자주 하는지 설문조사도 했는데, 하루에 9번 이상 키스하는 커플은 입 안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종류가 거의 비슷한 ... ...
- [시사] 아벨상 수상자 세머레디 교수 난제 해결의 실마리는 가벼운 문제에서수학동아 l2014년 12호
- 학생들을 가르쳐 보고 싶다고 답했다. 그것도 기존의 대규모 강의 형태가 아닌 한 명씩 개인적으로 말이다. 나이가 많아 더 이상 연구의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소연도 했지만, 그의 수학에 대한 열정과 헌신은 아직 여전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 ...
이전5925935945955965975985996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