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알아서 척척~ 학습하는 손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사람의 손동작을 따라하는 로봇은 지금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었지요.사람의 손은 인체
중
뼈가 가장 많아요. 모두 27개의 뼈로 이루어졌어요. 덕분에 정교한 움직임이 가능하지요. 하지만 그만큼 로봇으로 만들기 가장 어려운 부위이기도 해요. 그런데 최근 미국 워싱턴대학교 비카쉬 쿠마르 ... ...
Part 4. 금연, 온가족이 함께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중
독되었거나 마약을 했을 때와 똑같아요. 그래서 오랫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집
중
력이 떨어지거나 짜증이 나는 등 금단증상을 느끼게 돼요.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되는 거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발암물질로부터 가족을 지켜라!Part 1. 백해무익, 담배!Part 2. ... ...
[쇼킹 사이언스] 바람이 돌을 움직인다고?! 항해하는 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돌을 밀어 움직이게 한다는 얘기가 생길 정도로 궁금증은 커져만 갔답니다.그러던
중
2014년에 드디어 비밀이 밝혀졌어요. 미국 스크립스 해양과학연구소 제임스 노리스 박사팀이 실제 데스밸리의 환경과 돌의 움직임을 3년 동안 관찰해 직접 확인했거든요. 연구팀은 60여 개의 돌에 위치 추적 장치를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비해 멸종될 확률이 높아요. 1788년 이후 호주에서는 30종의 포유류가 멸종됐는데, 그
중
설치류가 절반 정도인 14종이나 차지한답니다. 과학자들은 이처럼 사람들이 특정 종에게 더 큰 관심을 쏟을 때, ‘분류학적 편견이 있다’고 표현해요. 예를 들어 지구상에는 양서류의 종 수가 포유류보다 훨씬 ... ...
[가상인터뷰] 깃털색에 숨겨진 새매의 사냥 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적응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어요. 자신의 털 색깔을 바꾸는 것도 그
중
하나지요. 덕분에 같은 종의 동물들이라도 각기 다른 색을 가지고 살아가는 ‘색다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거예요.테이트 박사는 색다형성을 통해 동물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고 있어요. 저도 박사님을 도와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굽은 선만 곡선일까?] 부드러운 직선, 부드럽지 않은 곡선우리나라의 시인 도종환의 시
중
에는 ‘부드러운 직선’이 있다. 수학적으로 직선도 곡선이라 한다지만, 과연 직선을 ‘부드럽다’고 할 수 있을까? 작가가 어떤 의도로 쓴 표현인지는 몰라도 시는 읽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할 수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스팸 메일을 보낼 확률이 높은 봇넷의 비정상적인 행동 패턴을 발견하는 방법에 집
중
하고 있습니다. 보안 전문가들은 모바일 메신저로 스팸을 보내려면 일정 금액을 내야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빠르게 증가하는 모바일 스팸의 양을 줄이는 방법에도 관심을갖고 있습니다.통신망을 개발한 ... ...
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있어요. 귀찮더라도 꼭 안전모를 쓰도록 하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
중
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Part 2. 친구가 사라졌다면?Part 3. 안전모를 쓰지 않으면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이번 연구엔 한계도 있다. 316개의 배아
중
11마리만이 태어나 성공률이 약 3.5%로 낮았다. 대다수의 배아가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돌연변이가 생기거나 염색체 수에 이상이 생겨 발생이 멈췄다. 윤리적인 문제도 있다. 이 방법을 인간에게 적용하려면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각했다. 그게 내가 입자물리학을 선택한 이유다.입자물리학은 모든 과학 분야
중
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이다. 대단히 보람 있는 삶이다. 비록 우주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는 없을지라도, 발견의 여정은 정말 매력적이다. 끊임없이 새로운 통찰과, 우리의 삶을 개선하는 혁신을 얻는다. 만약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