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큰뿔양의 생태를 조사해 ‘네이처’
지난
해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지난
1975년부터 1996년까지 57마리의 양들이 사냥꾼의 총에 희생돼왔다. 이 숫자는 전체 큰뿔양의 10% 수준이다.연구자들은 이 기간동안 숫양의 뿔 크기가 25%가량 줄어들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냥 가능한 양의 수가 ... ...
조류 독감 비상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있다.농림부 산하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따르면 이번에 집단 폐사를 불러온 바이러스는
지난
1997년 홍콩에서 발생해 감염자 18명 가운데 6명의 목숨을 앗아간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종류로 판명됐다. 이번 바이러스가 사람에게도 전염되는지 여부는 이달 중순 이후에나 알 수 있다. ... ...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파괴, 무력화시키자는 발상으로부터 소형위성이 우주무기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지난
2000년 중국은 적의 위성에 부착돼 필요할 때 폭파하는 ‘기생위성’ 또는 ‘킬러위성’의 시험을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는 10-1백kg급 마이크로위성이다. 또한 수백-수천km 떨어진 목표물도 공격하는 ... ...
미래 개인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 세그웨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동력을 생산할 수 있는 스털링 엔진을 장착한 제품도 조만간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해 9월 미 소비재안전위원회로부터 리콜 명령을 받는 불운을 겪기도 했다 ... ...
손바닥 방송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디지털오디오방송(DAB)과 비교하지 못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90년대 중반 유럽식 DAB를 도입하는 방안이 심도있게 논의됐었다. 그러나 DAB의 본산 유럽에서의 상용화가 생각보다 늦어지면서 도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또 기존 FM방송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기 ... ...
생체 인식 여권 나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중앙정보국(CIA)이 멀리서 이동하는 사람의 홍채정보를 식별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지난
11월 4일 보도했다. 문제는 이같은 기술이 군사용 외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일반 국민의 일상을 감시하는 ‘빅브라더의 덫’이 될 소지가 얼마든지 있다는 점이다.생체인식기술을 도입하기에 앞서 ... ...
첨단기술의 결정체 2004년형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각종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차가 등장했다. 일본 도요타사 자동차의 최고급 브랜드 렉서스인 LS430 2004년형이 그 주인공.2004년형 LS430에는 첨단 음성인 ... 쓰이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이 시스템이 허용되지 않았다.우리나라에서는 LS430의 2004년형이
지난
9월초 세계에서 제일 먼저 출시됐다 ... ...
북한, 멀티미디어 과학교재 만들어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추측되는 생물들의 먹이사슬을 흥미진진하게 재현해준다고 통신은 보도했다.이 교재는
지난
10월 평양에서 열린 ‘제14차 전국프로그람경연 및 전시회’에 출품돼 당시 금메달을 수상했던 것으로 알려졌다.하지만 흥미 유발을 위해 프로그램 안에 포함시킨 가상수족관이 사람들로부터 인기가 더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2월 18일 새벽, 올해의 가장 밝은 성식이 일어나기 때문이다.18일의 달은 하현을 약간
지난
월령 23.9일로서 새벽 무렵 동쪽 하늘 높이 떠 있으며 처녀자리에 위치해 있다. 이날 달에 가려지는 별은 처녀자리의 감마성으로 밝기 2.8등급이다. 이 별은 처녀자리의 와이(Y)자 중심 별로 잘 알려져 있는 ... ...
1 제인구달 인간과 동물의 경계 허물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속에서 야생동물과 살았다기에 거칠고 투박한 인상의 여류 과학자를 떠올렸다.하지만
지난
11월 8일 한국영장류연구소와 한국과학문화재단 초청으로 방한한 구달 박사를 서울 힐튼호텔에서 처음 만난 순간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키가 1백70cm 넘어 보이는 그의 첫인상은 차분한 목소리의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