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박사는 약 30만개의 염기로 이뤄진 박테리아 게놈을 합성할 계획인데, 산술적으로만 봐도
지난
해 합성한 박테리오파지 게놈 50개 이상이 모여야 하는 규모다. 설사 게놈을 합성했다 하더라도 이것이 세포 내에서 제대로 작동할지도 의문이다.197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해밀튼 스미스 박사는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높아지면서 사생활 보호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뉴욕타임즈’도
지난
해말 ‘향후 1백년’ 이라는 기획을 통해 정보혁명이 앞으로 개인의 자유를 크게 제약할 것이라는 우려를 표시했다. 일상 생활 전부가 컴퓨터 네트워크로 처리되기 때문에 그만큼 사생활 노출의 위험은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입장인데, 이것이야말로 다윈 진화론의 한계를 보여주는 가장 극명한 예입니다.
지난
번 다윈의 식탁에서 공룡 멸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6천5백만년 전에 운석이 떨어지지 않았다면 생명의 역사에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를 상상해보자고 한 적이 있습니다. 아마 우리 인간들이 이렇게 런던에 모일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러시아와 중국 방문에 앞서 한국을 먼저 방문해 계속적인 지지를 호소했다. 프랑스도
지난
해 12월 대통령 특사를 파견한데 이어, 1월 19일 클로디 에뉴레 연구기술부 장관이 한국을 직접 방문해 오명 과학기술부 장관과 권오규 청와대 정책수석을 잇따라 만나 자국 지지로 입장을 바꿔줄 것을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본 애시폴은 풍선을 타고 하늘을 나는 꿈을 갖게 됐다. 그는 실제로 이 꿈을 실현시켜
지난
20여년 간 풍선을 타고 하늘을 오르는 최고고도 기록을 수립해 왔다.그가 가장 최근에 세운 최고기록은 3.34km. 2001년 10월 28일 애시폴은 헬륨가스로 채워진 둘레가 1피트(30.4cm)인 풍선 6백개를 타고 3.34km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주목할 만한 것들이 있다면.전시장에 마련된 미래 쇼핑몰은 먼훗날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
한해 동안 인식칩 기술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 세상에 나왔다면 앞으로 1년은 인식칩의 상용화가 화두가 될 것이다. 생각대로만 된다면 올해안에 상용화가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또 앞으로 진행될 윈도와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갖고 있었는지를 규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이런 까닭에 NASA의 과학자와 공학자는
지난
2년 동안 착륙하기에 안전하면서도 물이 있었음직한 장소를 물색했다. 적합한 장소는 너무 바위가 많거나 너무 먼지가 많아서 안되고, 로봇이 이동하기에 힘들만한 경사가 없어야 하며, 적도와 가까워야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페라리와 함께 이탈리아 스포츠카의 쌍벽을 이뤘던 레루치오 람보르기니가 있었다.
지난
1964년 페라리가 2백50km이라는 엄청난 속도를 자랑하는 스포츠카를 내놓자 자존심이 상한 람보르기니가 미우라로 응수한 것에서 슈퍼카가 탄생한 것이었다. 이어 페라리 365GTB, 람보르기니 카운타크 등 수십대의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하기 때문이다. 기술의 표준화와 국제적 협력이 필요한 것도 바로 이 같은 까닭에서다.
지난
해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트론 전시회에 윈도 진영을 대표하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리눅스 진영이 참가한 것도 독점과 지역성을 벗어 던지지 못하면 결국 유비쿼터스 연구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는 계산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서 자신을 포장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죠.뉴턴 사후 1백년도 훨씬
지난
1857년, 맨체스터지방의 한 과학자가 포츠머스 백작의 저택 복도에서 넬러가 그린 흑백 초상화를 찾아냈습니다. 맨체스터는 영국 산업혁명의 중심지였기에 과학기술에 대한 대중의 기대와 선망이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