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식이다. 이 교수는 “광집게라는 단어가 다소 생소하긴 하지만 1970년에 이론적으로 처음
발표
됐고 1997년에는 응용연구가 노벨상을 탈 정도로 인정받은 연구”라며 “앞으로 생물학이나 의학 같이 미시세계를 다루는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성과들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미시세계를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자의 암투가 극에 달하던 1474년 여러 도시국가 중 하나인 베니스 공화국은 새 제도를
발표
했다. 새롭고 쓸 만한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누구도 그 기술을 베끼지 못하게 하는 독점권을 보장해준 것이다.대신 기술이 새로운지, 또 쓸 만한지 평가를 내리기 위해 기술자는 자신의 기술을 알기 쉽게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목적은 나노과학을 이용해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나노과학이 처음
발표
된 1990년대 초 이후 약 20년간 연구가 이뤄지며 공학 분야에서 나노과학을 이용해 새로운 소자, 회로,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들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에 와서 나노과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이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타운스는 메이저와 레이저의 선도적 연구에 대해, 구소련의 학자 두 명은 1954년에
발표
한 유도방출에 의한 광증폭의 아이디어와 암모니아 분자를 사용한 메이저의 기본 원리로 1964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이후 레이저광으로 홀로그래피를 발명한 영국 런던대의 데니스 가보는 1971년에,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나트 박사는 2005년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지에 자신이
발표
한 리보솜 결정학 관련 리뷰논문을 보여줬다.올해 요나트 박사는 한국을 방문한다. 5월 17일~1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연례국제학술대회에 주요 연사로 참여하는 것. ‘더 ... ...
항공대란은 마그마와 빙하의 합작품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4월 20일 현재 화산 활동이 약해지면서 분출되는 화산재의 양이 현저히 줄었다고
발표
했다. 이에 따라 일부 유럽 국가는 중단했던 항공기 운항을 재개했다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터졌지만 페어링을 분리하는 기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
했다. 이와 함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측은 “페어링을 제외한 나로호의 나머지 부분은 1차 발사에서 제대로 작동했다”고 밝힌 바 있다.하지만 당시 나로호는 발사 216초(3분 36초)만에 페어링이 정상 분리되지 않아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인류 조상인 호모(Homo) 속을 이어주는 종이라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4월 9일자에
발표
했다.당시 연구진은 178만 년~195만 년 된 유골 2구를 발견했는데, 각각 10살 전후의 소년과 20~30대 여성으로 추정된다. 버거 박사는 “비교적 팔이 길고 두개골 안에서 뇌가 차지하는 부피가 작아, 세디바는 ... ...
은하 운명 위협하는 초거대 블랙홀의 식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박사는 이 같은 연구결과를 4월 16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국립천문협회 미팅에서
발표
했다.블럭 박사는 허블우주망원경과 찬드라 X선 망원경을 이용해 방사선과 X선을 방출하는 초거대 블랙홀이 존재하는 100개의 은하를 관찰한 결과 이들 중 3분의 1이 새로운 별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바이오센서를 개발하는 연구다. 필자도 BOD센서와 관련된 연구 분야에서 여러 논문을
발표
한 바 있는데, 미생물연료전지형 BOD센서는 별도의 유지관리 없이 수년 이상 작동할 수 있다. 반면 기존에 BOD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 방법(5일 BOD)은 한 시료를 측정하는 데 5일이 걸리고 누가 측정하느냐에 따라 ... ...
이전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