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년 치올코프스키는 중력과 저항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로켓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공식을
발표
했다. 로켓의 일부를 빠른 속도로 뒤로 배출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가는 원리를 설명한 공식이다. 로켓은 연료를 태워 생긴 가스를 분사해 움직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로켓의 일부란 연료가 된다.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수 있지요.한국은 지난 2006년,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한국 최초 인조인간 ‘에버원’을
발표
했어요. 눈에 달린 카메라로 상대방의 얼굴을 알아보고, 약 400개의 단어를 상황에 맞게 표현할 수 있으며, 얼굴에 달린 15개의 모터로 희노애락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답니다.하지만 레오나르도나 에버원이 ... ...
7 안에 숨겨진 신비로움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2000년에 지금까지 풀리지 않았던 수학의 난제를 모아 ‘수학의 7대 난제’를
발표
하기도 했다. 이처럼 ‘7대◯◯’은 대부분 미스터리하거나 신기한 것의 순위를 꼽을 때 자주 쓰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로켓의 힘은 수학 지구를 탈출하는 꿈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 ...
마법의 숫자 7±2로 기억력을 높여라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기억하기 쉬운 원리다.미국의 심리학자 조지 밀러는 1956년에 마법의 숫자 7이라는 개념을
발표
했다. 사람의 뇌는 짧은 기억을 저장할 때 최대 7개의 문자나 숫자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서 그보다 적은 수로 쪼개서 외우는 것이 좋다는 내용이다. 그는 사람에 따라 5~9개로 조금씩 다를 수 있다며 7± ... ...
발자국이 쿵쿵~, 공룡이 깨어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깜짝 놀랐다. 아직 연구가 다 끝나지도 않았는데도 이 정도니, 연구가 끝나 학회에서
발표
될 올해 10월에는 어떤 내용이 또 밝혀질지 정말 궁금하다.…그나저나 한 가지 걱정이 생겼다. 고향인 진주에는 어떻게 돌아가지? 아무래도 연구가 다 끝날 때 까지 연구실에서 사람들하고 같이 살아야겠다. ... ...
서로 닮은 수학과 법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수체계가 완벽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정리예요. 이 정리가
발표
되기 이전의 수학자들은 어떤 문제도 수학적으로 참과 거짓을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즉 수학 문제에는 항상 답이 있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괴델은 참이지만 증명할 수 없는 문제를 보여 주며 수학은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다 해독했다고 해서 게놈 정보가 분석돼 나오는 것은 아니다. 2000년 6월 인간게놈 초안이
발표
됐을 때 이 성과를 가능케 한 가장 핵심 원동력은 당시 셀레라사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가 이용했던 산탄총기법을 활용한 해독법이었다. 이 방법의 핵심은 생물학이 아니라 정보기술(IT)이었다. 이 기법으로 ... ...
네안데르탈인 후예 지금도 살아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유전체)지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사이언스’ 5월 7일자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에서 현재 살아 있는 사람들 가운데 발견되는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발견했다. 이는 초기 인류가 네안데르탈인과 짝짓기했다는 얘기다.특히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물리학자 찰스 윌슨은 1925년 번개의 전기적 구조에 관한 학설을
발표
했다. 이른바 ‘윌슨설’이라고 불리는 이 학설에 따르면 이온이 응축된 구름 상층부에서 방전이 일어나면서 엄청난 에너지의 번개가 발생한다. 윌슨은 그 공로로 192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윌슨이 뇌우 상부의 번개 ... ...
은방울꽃 향기, 남자가 더 잘 맡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실험을 통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후각과 미각 분야 저널인 ‘케미컬 센시스’ 6월호에
발표
했다. 냄새 역치란 냄새를 못 맡다가 맡게 될 때 냄새분자의 농도인데, 역치가 낮을수록 그 냄새에 민감하다는 뜻이다. 남녀 각각 250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부르지오날에 대한 남자의 평균 역치는 13ppb ... ...
이전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다음
공지사항